Top 17 콤팩트 디스크 The 173 Correct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콤팩트 디스크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maxfit.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블루 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쭈쭈, CD플레이어, CD 리리, CD-ROM, CD 리세


CD 의 비밀 / CD 구조 / CD 제작과정 / CD 과학 / CD 표면이 빛나는 이유 / COMPACT DISC
CD 의 비밀 / CD 구조 / CD 제작과정 / CD 과학 / CD 표면이 빛나는 이유 / COMPACT DISC


콤팩트 디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40506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콤팩트 디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콤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흔히 영어식 약자인 CD(시디, 문화어: 알판 또는 씨디)라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콤팩트 디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콤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흔히 영어식 약자인 CD(시디, 문화어: 알판 또는 씨디)라고 …
  • Table of Contents:

역사[편집]

디스크 모양과 지름[편집]

형식[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콤팩트 디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콤팩트 디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Article author: www.scienceall.com
  • Reviews from users: 30213 ⭐ Ratings
  • Top rated: 4.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컴퓨터, 오디오 등 전자기기의 보조기억장치로 빛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출력하는 광디스크의 종류 중 하나이다. 직경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컴퓨터, 오디오 등 전자기기의 보조기억장치로 빛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출력하는 광디스크의 종류 중 하나이다. 직경 … 과학의 모든 것! 과학 학습, 과학 체험, 과학 문화의 모든 것 사이언스올!컴퓨터, 오디오 등 전자기기의 보조기억장치로 빛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출력하는 광디스크의 종류 중 하나이다.콤팩트디스크
  • Table of Contents: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Read More

콤팩트 디스크

  • Article author: hmn.wiki
  • Reviews from users: 11878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콤팩트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 CD )는 디지털 오디오 녹음 을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해 Philips 와 Sony 가 공동 개발한 디지털 광 디스크 데이터 저장 형식입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콤팩트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 CD )는 디지털 오디오 녹음 을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해 Philips 와 Sony 가 공동 개발한 디지털 광 디스크 데이터 저장 형식입니다. 컴팩트 디스크 ( CD )는 디지털 오디오 녹음 을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해 Philips 와 Sony 가 공동 개발한 디지털 광 디스크 데이터 저장 형식입니다. 1982년 8월 최초의 컴팩트 디스크가 제조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1982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디지털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 로 브랜드화되었습니다 .
  • Table of Contents:
콤팩트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Read More

필라테리아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7706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필라테리아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영어식 약자인 CD (시디, 문화어: 씨디)라고 흔히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필라테리아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영어식 약자인 CD (시디, 문화어: 씨디)라고 흔히 …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콤팩트디스크 [compact disc] 요약 음악의 녹음 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고속으로 디지털로 변환하여 녹음한 후 재생시에 음성신호로 고치는 펄스신호변조(PCM)방식을 사용하여 만든..PHILATELIA – 우표공부방 필라테리아
  • Table of Contents:
필라테리아
필라테리아

Read More

컴팩트 디스크 – 리브레 위키

  • Article author: librewiki.net
  • Reviews from users: 28935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컴팩트 디스크 – 리브레 위키 컴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컴팩트 디스크 – 리브레 위키 컴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 … 컴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CD-ROM 등의 규격을 통해서 데이터도 저장하게 되었다.
    컴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CD-ROM 등의 규격을 통해서 데이터도 저장하게 되었다.

    목차

    1 역사
    2 종류

    2.1 오디오 CD (레드 북)
    2.2 CD-ROM (옐로우 북)
    2.3 CD-R
    2.4 CD-RW

    3 수명
    4 보관 및 취급법
    5 그 외
    6 같이 보기

    6.1 다른 매체
    6.2 관련 기술

    7 각주

    1 역사[편집] CD의 뒷면
    1979년에 소니와 필립스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개발에 착수하였고, 이후 1981년에 상용화가 되었다. 최초의 CD 표준 규격으로는 74분의 오디오(CD-ROM에서는 640M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었으나, 이후 80분의 오디오/700MB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규격도 등장하게 되었다.

    2 종류[편집] 2.1 오디오 CD (레드 북)[편집] 이와 관련한 내용은 CD-DA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초의 CD. 다른 형태에 비해서 오류 정정 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CD가 손상되었을 경우 CD가 튀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음원이 44.1kHz에 16비트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의 가청 영역을 계산한 결과이다. 그래서 웬만한 사람이면, 자신이 황금귀가 아니면 CD 음질과 CD보다 더 고음질인 것을 구분하기 쉽지가 않다.

    2.2 CD-ROM (옐로우 북)[편집] ROM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다시피 읽기만 할 수 있는 매체이다. PC에서 CD-ROM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안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지우거나 추가하거나 할 수 없다.
    최초로 CD-ROM을 사용한 게임기는 PC 엔진이었으며, CD-ROM 드라이브를 애드온으로 설치하는 형태를 사용했다. 최초로 CD-ROM으로 출시된 게임은 스트리트 파이터의 PC엔진 이식작인 파이팅 스트리트였다.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room)인 줄 알고 시디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3 CD-R[편집] 흔히 공CD라 부르는 매체. 위에서 설명한 오디오 CD나 CD-ROM는 공장에서 프레스로 나와서 일반인이 CD로 데이터를 배포하기 어려웠는데, 이 CD-R은 단 한 번이지만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CD-R 드라이브에서 CD에 묻어있는 염료를 태워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형태인데, 염료를 태우기 때문에 한번 기록하면 다시 쓸 수가 없다. 이런 방식 때문인지 CD-R에 기록하는 것을 CD를 굽는다(Burn a CD)라고 표현했다.
    초창기에는 기술 부족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와 CD 굽는 속도를 1:1로 맞춰야했는데 이 과정이 굉장히 불안정했다. 덕분에 CD 굽는 도중에 다른 작업을 하거나 약간의 버벅임이 발생하면 버퍼 언더런(Buffer Underrun) 오류, 흔한 말로 뻑나기 쉬웠다. 위에서 설명했듯 이런 오류가 나면 다시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공CD는 버려야만 했다. 이는 DVD 역시 마찬가지. 이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드라이브에 버퍼(Buffer) 메모리가 장착되면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해결되었다. USB 메모리나 외장하드가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한동안 가격 대 용량비가 굉장히 좋았기 때문에 개인의 데이터 백업에 많이 쓰였다.
    공CD의 경우 일반 CD보다 수명이 다소 짧은 편이다. 특히 햇빛이나 각종 외부 환경에 쉽게 변형되는 염료를 사용한 초창기의 CD-R이나 싸구려 공CD의 경우 수명이 5년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비단 공CD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중요한 자료라면 추가로 백업을 해두자. 이 글을 읽고 구석에 방치된 백업CD가 생각이 났다면 더더욱.

    2.4 CD-RW[편집] CD-R과는 달리 1000번 이상 기록하고 삭제가 가능한 매체. 다만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오래된 오디오 CD 플레이어에서는 CD-RW를 읽을 수 없다. (현재의 CDP에서는 대부분 지원) 게다가 CD-RW 미디어 역시 CD-R에 비해서 고가였다.

    3 수명[편집] 보관 환경, CD 자체의 품질, 초기 기록 상태, CD의 물리적 훼손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CD의 수명도 매우 크게 달라질 수 있다. CD-ROM을 가속 노화시켜 수명을 예측한 연구 결과[1]에서도 실험에 사용한 CD 중 6%는 기대 수명이 너무 짫아 예측에 실패하고 몇 년 만에 정보가 증발해 버리는 CD들이 이런 녀석들인 듯하다., 16%는 기대 수명이 너무 길어 예측에 실패하는[2] 결과가 나왔는데, CD의 물리적 훼손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요인이 제거된 상태에서 나온 결과가 이거다(…). 즉, CD의 정확한 수명은 알 수 없지만 통계적으로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CD-ROM 중 수명이 100년을 넘기는 것은 최대 70% 정도이고, 4% 정도의 CD-ROM은 수명이 10년 이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또, CD 자체의 품질과 초기 기록 상태가 나쁘면 동일한 노화 조건 아래에서도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3]
    CD-R의 경우에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CD-ROM과 거의 같다.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30년 이상은 가며, CD 제조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 수명은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4] 물론 CD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수명이 엄청 짦은 폭탄이 걸리면 어쩔 수 없는거다(…).
    결론: CD에 저장된 정보를 날려버리기 싫다면 뽑기를 잘 해야 한다.

    4 보관 및 취급법[편집] CD가 표면에 레이저를 쬔 후 반사되어 나온 빛을 읽어 정보를 읽어들이는 만큼, 반사면이 오래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면을 분해하는 자외선[5]과 CD의 반사면을 변형시킬 수 있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피할 수 있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한랭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CD의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온도와 습도가 급격히 변하는 환경 역시 CD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CD의 데이터가 은빛으로 반짝이는 표면에 세겨진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사실이다. CD는 흔히들 ‘앞면’이라 부르는 CD의 라벨이 붙은 곳 바로 아래에 위치한 편광면과 투명한 아크릴 면으로 구성되는데, 이 둘 중 데이터가 어디에 세겨지는가는 무슨 종류의 CD냐에 따라 다르다. 옐로우 북 등 계급적 컴퓨터 데이터에 의해 관리되는 CD-R이나 RW형식의 사용자 쓰기가 가능한 디스크는 모든 데이터가 편광면에 기록된다. 따라서 앞면의 라벨이 손상되면 그 바로 아래에 놓인 알루미늄 편광면이 함께 손상되면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손실된다. 반면 공장에서 대량으로 레드북 형식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음악 CD 등은 레이저로 투명한 아크릴 표면에 물리적으로 그루브를 에칭하여 데이터를 세기고 그 위에 손상을 막기 위한 코팅 처리를 하기 때문에, 흔히들 “뒷면”이라 부르는 곳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존재한다. 라벨 바로 아래에 있는 은빛 알루미늄 표면은 오로지 CD플레이어의 레이저가 플라스틱 표면에 세겨진 데이터를 정확히 읽도록 도와주는 반사판으로서의 역할만을 한다. 당연히 편광판이 손상되면 레이저의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지 못하여 읽어들일 수 없는 CD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해지지만, 아크릴 표면이 손상이 되지 않는 이상 데이터 그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기 때문에 라벨을 깨끗이 제거해내고 새로운 편광 표면을 부착함으로서 복구가 가능하다.
    결론적으론 CD의 양면을 공평하게(?) 곱게 다뤄줘야 이런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다.

    5 그 외[편집] 최초로 대중화된 광 매체이다보니, 이후에 나온 후속 광 매체인 DVD나 블루레이의 경우도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CD라고 부르는 경우가 왕왕 있다.
    CD 초창기에는 수명이 약했기 때문에 80년대 초반에 발매된 CD들의 표면이 벌써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제보되고 있다.
    대학교 등에서 학점이 C, D로 점철된 경우 비유하여 ‘CD 플레이어’라고 한다.

    6 같이 보기[편집] 6.1 다른 매체[편집] DVD
    M-Disc
    6.2 관련 기술[편집] Cue
    7 각주

    ↑ Compact Disc Service Life: An Investigation of the Estimated Service Life of Prerecorded Compact Discs (CD-ROM)

    ↑ 예상된 기대 수명 중에는 5592년(!)을 기록한 CD도 있다. 기대 수명이 너무 길다고 판정이 나온 CD는 이거보다 더 수명이 길게 나온거다.(…)

    ↑ CD-ROM Longevity Research – Research Projects – Preservation Science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 CD / CD-R and DVD-R RW Longevity Research – Research Projects – Preservation Science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 CD-R은 반짝이는 표면의 염료를 태워서 기록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외선에 특히 더 취약하다.

    리브레 위키,컴팩트 디스크

  • Table of Contents:

목차

1 역사[편집]

2 종류[편집]

3 수명[편집]

4 보관 및 취급법[편집]

5 그 외[편집]

6 같이 보기[편집]

7 각주

컴팩트 디스크 - 리브레 위키
컴팩트 디스크 – 리브레 위키

Read More

‘콤팩트 디스크’ 쉬운 설명 – 미닛

  • Article author: ko.meaniit.com
  • Reviews from users: 1699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콤팩트 디스크’ 쉬운 설명 – 미닛 콤팩트 디스크([언어:en]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영어식 약자인 CD고 흔히 부른다. 원래는 오디오, 즉 음악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콤팩트 디스크’ 쉬운 설명 – 미닛 콤팩트 디스크([언어:en]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영어식 약자인 CD고 흔히 부른다. 원래는 오디오, 즉 음악과 … 관련: 정보통신기술
  • Table of Contents:
'콤팩트 디스크' 쉬운 설명 - 미닛
‘콤팩트 디스크’ 쉬운 설명 – 미닛

Read More

콤팩트 디스크 – HelpSly.net

  • Article author: helpsly.net
  • Reviews from users: 48339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콤팩트 디스크 – HelpSly.net 콤팩트 디스크. 업데이트: Helpsly에 의해 2022-03-12. 약칭 CDㅏ compact disc James Russell이 발명한 평평하고 둥근 광학 저장 매체입니다. 첫 번째 CD는 1982년 8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콤팩트 디스크 – HelpSly.net 콤팩트 디스크. 업데이트: Helpsly에 의해 2022-03-12. 약칭 CDㅏ compact disc James Russell이 발명한 평평하고 둥근 광학 저장 매체입니다. 첫 번째 CD는 1982년 8 …
  • Table of Contents:

컴퓨터에 사용되는 CD는 무엇입니까

CD는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보유합니까

CD를 사용하거나 실행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CD 이전에 무엇이 나왔습니까

CD 이후에 무엇이 나왔습니까

콤팩트 디스크 - HelpSly.net
콤팩트 디스크 – HelpSly.net

Read More

TTA정보통신용어사전

  • Article author: terms.tta.or.kr
  • Reviews from users: 39201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TTA정보통신용어사전 1981년에 레드 북(Red Book)이라는 규격서의 형태로 제안되었다. 콤팩트 디스크(CD)는 직경 12cm의 은색 원반에 비트라는 작은 요철을 만들어서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TTA정보통신용어사전 1981년에 레드 북(Red Book)이라는 규격서의 형태로 제안되었다. 콤팩트 디스크(CD)는 직경 12cm의 은색 원반에 비트라는 작은 요철을 만들어서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고, …
  • Table of Contents:
TTA정보통신용어사전
TTA정보통신용어사전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maxfit.vn/blog/.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시디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씨디, 시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CD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콤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흔히 영어식 약자인 CD(시디, 문화어: 알판 또는 씨디)라고 부른다. 원래는 오디오, 즉 음악과 같은 소리 정보를 담기 위한 매체였다. 나중에 이 기술은 다른 디지털 정보도 저장하는 기억 장치인 CD-ROM(시디롬)으로도 적용되었다.

콤팩트 디스크는 알루미늄 박막에 레이저로 홈을 파서 신호를 저장하며, 마찬가지로 레이저로 신호를 읽는다. 따라서 자료의 손상이 없는 반영구적 매체이다. 오디오 신호를 담은 콤팩트 디스크, 즉 오디오 CD는 여러 개의 스테레오 트랙으로 나뉘어 있으며, 샘플링 레이트(측정점의 세분율) 44.1 킬로헤르츠(kHz) 16 비트 펄스 부호 변조(PCM) 코딩으로 저장되어 있다. 표준 시디는 주로 지름이 12센티미터 시디를 가리키지만 지름이 8센티인 미니CD(MiniCD)나 명함 크기의 시디도 표준이다. 12센티미터 디스크는 원래 74분의 오디오 신호를 담게 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80분, 심지어는 90분 용량의 CD도 나왔다. LP와 달리 안쪽에서 시작해서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신호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역사 [ 편집 ]

콤팩트 디스크는 레이저디스크 기술의 부산물이다. 1976년 9월에 소니는 처음으로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시연하였다. 1978년 9월에 150분 재생 시간에 44,056 헤르츠의 샘플링 속도, 16비트 선형 해상도, 크로스 인터리빙 오류 정정 코드를 제공하는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시연하였으며 이는 1982년에 도입한 콤팩트 디스크(CD)의 것과 비슷한 것이었다. 소니의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의 자세한 기술 내용은 1979년 3월 13~16일에 개최한 62회 국제 오디오 공학회(AES) 모임 기간 동안 브뤼셀에서 증명되었다.[1] 1979년 3월 8일 필립스는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필립스가 콤팩트 디스크를 소개합니다”(“Philips Introduce Compact Disc”)라는 이름의 콘퍼런스에서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의 본보기를 시연하였다.[2]

그 뒤 1979년에 소니와 필립스는 기술자들끼리 힘을 합쳐 새로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설계에 착수하였다. Kees Schouhamer Immink와 도이 도시타다가 이끌었던 연구는 레이저 및 광 디스크 기술을 앞당겼으며 이는 필립스와 소니가 각각 1977년과 1975년에 독립적으로 시작하였다.[3] 실험과 논의가 있던 한 해가 지나 CD의 표준인 레드북(CD-DA)을 만들었다. 필립스는 비디오 레이저디스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제조 공정에 공헌하였다. 또, 필립스는 오랜 시간 재생할 수 있으면서도 긁힘과 손자국과 같은 디스크 결점으로부터의 높은 회복성을 제공하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에 기여하였으며 소니는 오류 정정 방식인 CIRC에 기여하였다.

최초의 CD는 1981년에 독일의 하노버에서 Polydor Pressing Operations사가 출판하였다. 이 디스크에는 베를리너 필하모니커가 연주하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Eine Alpensinfonie (알프스 교향곡)을 담고 있었다.[4]

대한민국에서는 1981년 동원전자에서 필립스와 기술도입계약을 체결하여, 이듬해 11월에 디스크와 CD 플레이어를 생산할 예정이었으나, 연기를 거듭한 끝에 무산되었다.[5][6] 이후 1983년 11월에 금성사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CD플레이어 ‘GCD-600’을 출시하였고,[7] 디스크는 1986년 11월 SKC에서 천안에 첫 생산공장을 준공하여 생산하였다.[8]

디스크 모양과 지름 [ 편집 ]

물리적 크기 오디오 용량 CD-ROM 데이터 용량 참고 12 cm 74–99 분 650–870 MB 표준 크기 8 cm 21–24 분 185–210 MB 미니 CD 크기 85×54 mm – 86×64 mm ~6 분 10-65 MB 명함 크기

형식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콤팩트디스크 [compact disc]

요약

음악의 녹음 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고속으로 디지털로 변환하여 녹음한 후 재생시에 음성신호로 고치는 펄스신호변조(PCM)방식을 사용하여 만든 음반.

본문

지름 12 cm 디스크에 미세한 홈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홈에 저장된 신호를 검출 재생하는 장치로서 흔히 줄여서 CD라고 한다. 재생 방법은 레이저 광선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잡음이 적고 음질은 우수하나 기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현재 기록 가능한 CD가 개발되고 있다. 프로토타입 플레이어는 1977년, 1979년 필립스사(社)와 소니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1982년 첫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

최근 계속 발표되는 CD-ROM(CD-Read only Memory:주로 PC의 보조 메모리로 사용됨), CD-I(CD-Interactive:CD를 매체로 한 영상기기의 표준으로서 일반 PC와는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사용) 등과 구분하기 위하여 특별히 음악용 CD를 CD-DA(CD-Digital Audio)라고 한정지어 부른다. /네이버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k ] 동의어 : CD

녹음된 소리를 재생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주조한 원형판. 기계적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만들어진 기존의 레코드와 다르게 CD의 홈은 일련의 작은 골들로, 디지털 녹음기계의 레이저 광선에 의해 다양한 깊이의 밖으로 향하는 나선형으로 파인다. CD를 녹음재생장치에 넣으면 저강도의 레이저 광선에 의해 반사·산란되고 이 빛의 다양한 강도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광학감지기로 읽어 디지털 신호를 충격음으로 변환시킨다(디지털 음성녹음). CD는 홈과 바늘구조의 기술적 진보를 대표하는 것으로, 실제로 디스크에 닿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홈은 결코 바늘에 의해 닳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감지기가 새겨진 골에 반사된 빛을 읽기 때문에 레코드 표면의 먼지나 미세한 긁힘이 왜곡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CD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는 좋은 축음기 레코드가 70dB(데시벨)인 데 비해 90dB까지 이른다. CD는 기본 디스크를 만든 후 플라스틱 주조판에 한 면을 기본 디스크에 눌러 본을 뜨고 반사 알루미늄층과 플라스틱층으로 표면을 입혀 만든다. 1980년대초부터 나온 가정용의 지름은 12㎝이고 1시간 이상을 녹음할 수 있으며 녹음재생장치(CD 플레이어)는 증폭기와 스피커에 연결할 수 있다. 음악용 CD 외에도 최근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CDG는 음악용 CD에 그림을 삽입해 정지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영상 노래방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화용 CD라고 불리는 CDI는 오디오·비디오·컴퓨터의 기능을 하나로 합친 멀티미디어 장치로서 내부에 소형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어 단순히 음악·영화·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중간에 원격조정장치로 작업을 지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여러 기능을 스스로 선택·결정한다. CD-ROM은 CD에 문자·그림·음악 등의 정보를 담아 컴퓨터로 검색해보는 것으로서 ‘종이책’을 대신할 새로운 매체라는 의미에서 ‘전자책’이라 한다. 지름 12㎝의 CD-ROM에는 540MB(영문 5억 6,623만 1,040자)의 글자를 기억시킬 수 있다. 하루 24면씩, 1면에 1만 자 의 기사가 실리는 일간신문이라면 1,018일분, 즉 3년 2개월분치를 1장의 CD-ROM에 실을 수 있다.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는 임의대로 읽고 쓸 수 있는데 비해, CD-ROM은 단지 읽기만 할 수 있다. /브리태니커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는 광 디스크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광 디스크이다. 영어식 약자인 CD (시디, 문화어 : 씨디)라고 흔히 부른다. 원래는 오디오, 즉 음악과 같은 소리 정보를 담기 위한 매체였다. 나중에 이 기술은 다른 디지털 정보도 저장하는 기억 장치인 CD-ROM(시디롬)으로도 적용되었다. 콤팩트 디스크는 알루미늄 박막에 레이저로 홈을 파서 신호를 저장하며, 마찬가지로 레이저로 신호를 읽는다. 따라서 자료의 손상이 없는 반영구적 매체이다. 오디오 신호를 담은 콤팩트디스크, 즉 오디오 CD는 여러 개의 스테레오 트랙으로 나뉘어 있으며, 샘플링 레이트(측정점의 세분율) 44.1 킬로헤르츠(kHz) 16 비트 펄스 부호 변조(PCM) 코딩으로 저장되어 있다. 표준 시디는 주로 지름이 12센티미터 시디를 가리키지만 지름이 8센티인 미니CD(MiniCD)나 명함 크기의 시디도 표준이다. 12센티미터 디스크는 원래 74분의 오디오 신호를 담게 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80분, 심지어는 90분 용량의 CD도 나왔다. LP와 달리 안쪽에서 시작해서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신호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역사

콤팩트 디스크는 레이저디스크 기술의 부산물이다. 1976년 9월에 소니 는 처음으로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시연하였다. 1978년 9월에 150분 재생 시간에 44,056 헤르츠의 샘플링 속도, 16비트 선형 해상도, 크로스 인터리빙 오류 정정 코드를 제공하는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시연하였으며 이는 1982년에 도입한 콤팩트 디스크(CD)의 것과 비슷한 것이었다. 소니의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의 자세한 기술 내용은 1979년 3월 13~16일에 개최한 62회 국제 오디오 공학회(AES) 모임 기간 동안 브뤼셀에서 증명되었다. 1979년 3월 8일 필립스는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필립스가 콤팩트 디스크를 소개합니다”(“Philips Introduce Compact Disc”)라는 이름의 콘퍼런스에서 광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의 본보기를 시연하였다.

그 뒤 1979년에 소니와 필립스는 기술자들끼리 힘을 합쳐 새로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설계에 착수하였다. Kees Schouhamer Immink와 도이 도시타다가 이끌었던 연구는 레이저 및 광 디스크 기술을 앞당겼으며 이는 필립스와 소니가 각각 1977년과 1975년에 독립적으로 시작하였다. 실험과 논의가 있던 한 해가 지나 CD의 표준인 레드북(CD-DA)을 만들었다. 필립스는 비디오 레이저디스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제조 공정에 공헌하였다. 또, 필립스는 오랜 시간 재생할 수 있으면서도 긁힘과 손자국과 같은 디스크 결점으로부터의 높은 회복성을 제공하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에 기여하였으며 소니는 오류 정정 방식인 CIRC에 기여하였다.

최초의 CD는 1981년에 독일의 하노버에서 Polydor Pressing Operations사가 출판하였다. 이 디스크에는 베를리너 필하모니커가 연주하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가 지휘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Eine Alpensinfonie (알프스 교향곡)을 담고 있었다.

디스크 모양과 지름

물리적 크기 오디오 용량 CD-ROM 데이터 용량 참고 12 cm 74–99 분 650–870 MB 표준 크기 8 cm 21–24 분 185–210 MB 미니 CD 크기 85×54 mm – 86×64 mm ~6 분 10-65 MB 명항 크기

형식

* 레드북 (오디오 CD)

* CD 텍스트

* CD+G (CD + 그래픽스)

* CD+EG (콤팩트 디스크 + 익스탠디드 그래픽스)

* SACD (슈퍼 오디오 CD)

* CD-MIDI

* CD-ROM

* 비디오 CD

* 슈퍼 비디오 CD (SVCD)

* 포토 CD

* CD-i

* 강화 CD

* 비닐디스크

/위키백과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문화어 : 레이자전축)는 오디오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는 전자 기기이다. CD 플레이어는 가정용 스테레오 시스템, 카오디오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에 자주 설치된다. 이러한 플레이어는 휴대용 기기로도 제조된다. 현대에 이르러 CD뿐 아니라 DVD, 오디오 파일이 포함된 CD-ROM, 비디오 CD와 같은 다른 포맷도 지원한다. 현대의 수많은 CD 플레이어는 MP3 CD도 재생한다. CD의 재생 기능은 컴퓨터와 게임기에 장착된 현대의 모든 CD-ROM/DVD-ROM 드라이브에서 지원한다. /위키백과

——————————————————————————–

1982.10.1 – CD(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발매 시작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는 지름 12 cm 디스크에 미세한 홈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홈에 저장된 신호를 검출 재생하는 장치로서 흔히 줄여서 CD라고 한다. 재생 방법은 레이저 광선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잡음이 적고 음질이 우수하며 기록을 할 수도 있다. 프로토타입 플레이어는 1977년, 1979년 필립스사(社)와 소니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1982년 첫 제품이 시장에 나왔다. (발췌) /네이버

——————————————————————————–

컴팩트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영어: 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CD-ROM 등의 규격을 통해서 데이터도 저장하게 되었다.

1 역사 [ 편집 ]

CD의 뒷면

1979년에 소니와 필립스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개발에 착수하였고, 이후 1981년에 상용화가 되었다. 최초의 CD 표준 규격으로는 74분의 오디오(CD-ROM에서는 640M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었으나, 이후 80분의 오디오/700MB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규격도 등장하게 되었다.

2 종류 [ 편집 ]

2.1 오디오 CD (레드 북) [ 편집 ]

이와 관련한 내용은 이와 관련한 내용은 CD-DA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초의 CD. 다른 형태에 비해서 오류 정정 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CD가 손상되었을 경우 CD가 튀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음원이 44.1kHz에 16비트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의 가청 영역을 계산한 결과이다. 그래서 웬만한 사람이면, 자신이 황금귀가 아니면 CD 음질과 CD보다 더 고음질인 것을 구분하기 쉽지가 않다.

ROM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다시피 읽기만 할 수 있는 매체이다. PC에서 CD-ROM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안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지우거나 추가하거나 할 수 없다.

최초로 CD-ROM을 사용한 게임기는 PC 엔진이었으며, CD-ROM 드라이브를 애드온으로 설치하는 형태를 사용했다. 최초로 CD-ROM으로 출시된 게임은 스트리트 파이터의 PC엔진 이식작인 파이팅 스트리트였다.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room)인 줄 알고 시디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흔히 공CD라 부르는 매체. 위에서 설명한 오디오 CD나 CD-ROM는 공장에서 프레스로 나와서 일반인이 CD로 데이터를 배포하기 어려웠는데, 이 CD-R은 단 한 번이지만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CD-R 드라이브에서 CD에 묻어있는 염료를 태워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형태인데, 염료를 태우기 때문에 한번 기록하면 다시 쓸 수가 없다. 이런 방식 때문인지 CD-R에 기록하는 것을 CD를 굽는다(Burn a CD)라고 표현했다.

초창기에는 기술 부족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와 CD 굽는 속도를 1:1로 맞춰야했는데 이 과정이 굉장히 불안정했다. 덕분에 CD 굽는 도중에 다른 작업을 하거나 약간의 버벅임이 발생하면 버퍼 언더런(Buffer Underrun) 오류, 흔한 말로 뻑나기 쉬웠다. 위에서 설명했듯 이런 오류가 나면 다시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공CD는 버려야만 했다. 이는 DVD 역시 마찬가지. 이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드라이브에 버퍼(Buffer) 메모리가 장착되면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해결되었다. USB 메모리나 외장하드가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한동안 가격 대 용량비가 굉장히 좋았기 때문에 개인의 데이터 백업에 많이 쓰였다.

공CD의 경우 일반 CD보다 수명이 다소 짧은 편이다. 특히 햇빛이나 각종 외부 환경에 쉽게 변형되는 염료를 사용한 초창기의 CD-R이나 싸구려 공CD의 경우 수명이 5년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비단 공CD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중요한 자료라면 추가로 백업을 해두자. 이 글을 읽고 구석에 방치된 백업CD가 생각이 났다면 더더욱.

CD-R과는 달리 1000번 이상 기록하고 삭제가 가능한 매체. 다만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오래된 오디오 CD 플레이어에서는 CD-RW를 읽을 수 없다. (현재의 CDP에서는 대부분 지원) 게다가 CD-RW 미디어 역시 CD-R에 비해서 고가였다.

3 수명 [ 편집 ]

보관 환경, CD 자체의 품질, 초기 기록 상태, CD의 물리적 훼손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CD의 수명도 매우 크게 달라질 수 있다. CD-ROM을 가속 노화시켜 수명을 예측한 연구 결과[1]에서도 실험에 사용한 CD 중 6%는 기대 수명이 너무 짫아 예측에 실패하고 몇 년 만에 정보가 증발해 버리는 CD들이 이런 녀석들인 듯하다. , 16%는 기대 수명이 너무 길어 예측에 실패하는[2] 결과가 나왔는데, CD의 물리적 훼손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요인이 제거된 상태에서 나온 결과가 이거다(…). 즉, CD의 정확한 수명은 알 수 없지만 통계적으로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CD-ROM 중 수명이 100년을 넘기는 것은 최대 70% 정도이고, 4% 정도의 CD-ROM은 수명이 10년 이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또, CD 자체의 품질과 초기 기록 상태가 나쁘면 동일한 노화 조건 아래에서도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3]

CD-R의 경우에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CD-ROM과 거의 같다.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30년 이상은 가며, CD 제조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 수명은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4] 물론 CD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수명이 엄청 짦은 폭탄이 걸리면 어쩔 수 없는거다(…).

결론: CD에 저장된 정보를 날려버리기 싫다면 뽑기를 잘 해야 한다.

4 보관 및 취급법 [ 편집 ]

CD가 표면에 레이저를 쬔 후 반사되어 나온 빛을 읽어 정보를 읽어들이는 만큼, 반사면이 오래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면을 분해하는 자외선[5]과 CD의 반사면을 변형시킬 수 있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피할 수 있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한랭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CD의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온도와 습도가 급격히 변하는 환경 역시 CD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CD의 데이터가 은빛으로 반짝이는 표면에 세겨진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사실이다. CD는 흔히들 ‘앞면’이라 부르는 CD의 라벨이 붙은 곳 바로 아래에 위치한 편광면과 투명한 아크릴 면으로 구성되는데, 이 둘 중 데이터가 어디에 세겨지는가는 무슨 종류의 CD냐에 따라 다르다. 옐로우 북 등 계급적 컴퓨터 데이터에 의해 관리되는 CD-R이나 RW형식의 사용자 쓰기가 가능한 디스크는 모든 데이터가 편광면에 기록된다. 따라서 앞면의 라벨이 손상되면 그 바로 아래에 놓인 알루미늄 편광면이 함께 손상되면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손실된다. 반면 공장에서 대량으로 레드북 형식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음악 CD 등은 레이저로 투명한 아크릴 표면에 물리적으로 그루브를 에칭하여 데이터를 세기고 그 위에 손상을 막기 위한 코팅 처리를 하기 때문에, 흔히들 “뒷면”이라 부르는 곳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존재한다. 라벨 바로 아래에 있는 은빛 알루미늄 표면은 오로지 CD플레이어의 레이저가 플라스틱 표면에 세겨진 데이터를 정확히 읽도록 도와주는 반사판으로서의 역할만을 한다. 당연히 편광판이 손상되면 레이저의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지 못하여 읽어들일 수 없는 CD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해지지만, 아크릴 표면이 손상이 되지 않는 이상 데이터 그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기 때문에 라벨을 깨끗이 제거해내고 새로운 편광 표면을 부착함으로서 복구가 가능하다.

결론적으론 CD의 양면을 공평하게(?) 곱게 다뤄줘야 이런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다.

5 그 외 [ 편집 ]

최초로 대중화된 광 매체이다보니, 이후에 나온 후속 광 매체인 DVD나 블루레이의 경우도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CD라고 부르는 경우가 왕왕 있다.

CD 초창기에는 수명이 약했기 때문에 80년대 초반에 발매된 CD들의 표면이 벌써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제보되고 있다.

대학교 등에서 학점이 C, D로 점철된 경우 비유하여 ‘CD 플레이어’라고 한다.

6 같이 보기 [ 편집 ]

6.1 다른 매체 [ 편집 ]

6.2 관련 기술 [ 편집 ]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콤팩트 디스크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레이저 디스크, 블루 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쭈쭈, CD플레이어, CD 리리, CD-ROM, CD 리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