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31 이방원 하여 가 The 49 Top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이방원 하여 가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maxfit.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이방원 하여 가 이방원 하여가 가사, 이방원 하여가 해석, 하여가 단심가 원문, 하여가 단심가, 하여가 시, 하여가 한자,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하여가 원문


선죽교의 비극: 이방원 ‘하여가’ vs 정몽주 ‘단심가’ | 정몽주의 죽음과 고려의 멸망 | 한국사 고려시대 애니메이션 ★ 지니스쿨 역사
선죽교의 비극: 이방원 ‘하여가’ vs 정몽주 ‘단심가’ | 정몽주의 죽음과 고려의 멸망 | 한국사 고려시대 애니메이션 ★ 지니스쿨 역사


하여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47516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하여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여가(何如歌)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이다. 목차. 1 내용; 2 배경;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내용편집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하여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여가(何如歌)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이다. 목차. 1 내용; 2 배경;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자료. 내용편집 …
  • Table of Contents:

내용[편집]

배경[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하여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여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 중앙일보

  • Article author: www.joongang.co.kr
  • Reviews from users: 7020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 중앙일보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16.05.12 15:04. 앱에서 읽기.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 중앙일보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16.05.12 15:04. 앱에서 읽기.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 년까지 누리리라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죽어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 시
  • Table of Contents:

중앙일보

1 복어독 살인미수

2 살인미수 보험사기방지특별법

3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4 민희진

5 내연남 조현수

6 이준석

7 여객선

8 김성원

9 한강 사진

10 퍼스펙티브

이은해 남편 나가자마자 조현수와 성관계…복어독 그날 충격증언

사람 죽는데 철없다아직 중학생…논쟁 부른 정동원 사진

정유라 내 생활비 1억이라 떠들더니…배신자 이준석 쉴곳 없다

수해현장 눈에 띈 ‘尹의 구두’…대통령실 수준 딱 이 정도다 [뉴스원샷]

여친과 싸우다 150만원 명품백에 오줌싼 ‘찌질남’의 최후

# 시

아아·따아·아라·따라…커피 타입으로 본 나의 리더십 유형은

2022 올해의 시계를 만나다

위기의 화력발전소 수소・암모니아가 구원투수!

근로기준법 개정 후 사장님들 하소연

침대 회사가 왜 삼겹살 수세미를 팔지

로마를 담은 보석 이야기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 중앙일보
하여가와 단심가 – 이방원과 정몽주 | 중앙일보

Read More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출판/문학 < 문화 < 기사본문 - 충청투데이

  • Article author: www.cctoday.co.kr
  • Reviews from users: 14280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출판/문학 < 문화 < 기사본문 - 충청투데이 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위의 두 작품은 화답시(和答詩)로 널리 알려진 이방원의 하여가(何如歌)와 정몽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출판/문학 < 문화 < 기사본문 - 충청투데이 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위의 두 작품은 화답시(和答詩)로 널리 알려진 이방원의 하여가(何如歌)와 정몽주 ... 이방원 회유… 정몽주, 결연 의지 화답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리리라.-이방원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백골(白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정몽주위의 두 작품은 화답시(和答詩)로 널리 알려진 이방원의 하여
  •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전체메뉴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출판/문학 < 문화 < 기사본문 - 충청투데이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출판/문학 < 문화 < 기사본문 - 충청투데이

Read More

하여가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 Article author: ko.wikisource.org
  • Reviews from users: 47883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하여가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방원(태종)의 시조. 온건 개혁파의 중추적 인물인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정몽주는 이방원이게 〈단심가〉로 화답하였다가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하여가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방원(태종)의 시조. 온건 개혁파의 중추적 인물인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정몽주는 이방원이게 〈단심가〉로 화답하였다가 …
  • Table of Contents:

라이선스[편집]

둘러보기 메뉴

하여가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하여가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Read More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 Article author: brunch.co.kr
  • Reviews from users: 46308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봄바람 불고 꽃도 피고 지고, 날이 참 좋다. 문득 무슨 뜻인지 모르고 외웠던 <상춘곡>이 생각난다. ‘홍진에 뭇친 분네 이내 생에 어떠한고’로 시작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봄바람 불고 꽃도 피고 지고, 날이 참 좋다. 문득 무슨 뜻인지 모르고 외웠던 <상춘곡>이 생각난다. ‘홍진에 뭇친 분네 이내 생에 어떠한고’로 시작 … 봄바람 불고 꽃도 피고 지고, 날이 참 좋다. 문득 무슨 뜻인지 모르고 외웠던 <상춘곡>이 생각난다. ‘홍진에 뭇친 분네 이내 생에 어떠한고’로 시작하는데, 사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바로 여기다. 괴여 닉은 술을 갈건(葛巾)으로 밧타 노코, 곳나모 가지 것거, 수노코 먹으리라. 학생이던 나에게 나중에 꽃나무 가지 꺾어 숫자 세어가며 술을 마시고 싶다는 소박
  • Table of Contents: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Read More

하여가(何如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Article author: encykorea.aks.ac.kr
  • Reviews from users: 27257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하여가(何如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수. 이방원은 조선 건국에 공이 큰 태종으로,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부른 작품이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하여가(何如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수. 이방원은 조선 건국에 공이 큰 태종으로,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부른 작품이다.

  • Table of Contents:

주메뉴

하여가(何如歌)


	
    하여가(何如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하여가(何如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180+ tips for you.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여가(何如歌)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이다.

내용 [ 편집 ]

하여가는 고려 말과 조선 초기의 시조 1수로 『해동악부』에 전해지고 있다. 지은이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과 창업에 공이 큰 조선 제3대의 임금, 태종으로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부른 작품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이런들 엇더며 져런들 엇더료/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얼거진들 엇더리/ 우리도 이치 얼거져 백년(百年)지 누리리라.

이런들 또 어떠하며(如此亦如何, 여차역여하), 저런들 또 어떠하리(如彼亦如何, 여피역여하).

성황당의 뒷담이(城隍堂後垣, 성황당후원),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頹落亦何如, 퇴락역하여).

우리들도 이 같이 하여(吾輩若此爲, 오배약차위), 죽지 않은들 또 어떠랴(不死亦何如, 불사역하여).

『해동악부』(海東樂府)에는 城隍堂後垣(성황당후원), 城隍堂後苑(성황당후원), 또는 城隍堂後壇(성황당후단)이라 전해오는데 옮기는 이에 따라 달라져 있다.

또한 『포은집』(圃隱集)에 전하는 원문에는 ’성황당의 뒷담이(城隍堂後垣),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頹落亦何如)’이라 되어 있는데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로 바뀌어 있다. 만수산은 개성의 부성(府城) 서문 밖, 송악산 서쪽에 있는 산이다.

마찬가지로 『포은집』은 ’죽지 않은들 또 어떠랴(不死亦何如)’를 ’백년(百年)지 누리리라’로 바꾸어 전하고 있다.

배경 [ 편집 ]

하여가는 『해동악부』와 『포은집』에 한역되어 전한다(此亦何如 彼亦何如 城隍堂後垣 頹落亦何如 我輩若此爲不死亦何如). 이 작품은 반대당인 정몽주(鄭夢周)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하여 마련된 자리에서 지어 불렀다 한다. 이 시조의 내용은 “이런들 엇더며 져런들 엇더료/만수산(萬壽山)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리/우리도 이치 얼거져 백년(百年)지 누리리라.” 이에 대하여 정몽주는 <단심가(丹心歌)>를 지어 응수하였다.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참고 자료 [ 편집 ]

『포은집(圃隱集)』

『해동악부(海東樂府)』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직산업사(1992년)

『한국시가문학사(詩歌文學史)』, 박을수, 아세아문화사(1997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하여가, 한국학중앙연구원(1998년판)

[시조가 있는 아침]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이방원 회유… 정몽주, 결연 의지 화답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白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위의 두 작품은 화답시(和答詩)로 널리 알려진 이방원의 하여가(何如歌)와 정몽주의 단심가(丹心歌)이다.

이방원이 고려의 마지막 기둥이었던 정몽주의 의중을 떠보려고 술자리를 베풀어 초대하고 정중하게 잔을 권하며 시조 한 수를 읊었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당신과 나, 칡덩굴처럼 얽혀져 오래오래 함께 살자꾸나’ 하고 은근히 뜻을 같이할 것을 회유(懷柔)하였으나, 정몽주는 즉석에서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을 다시 죽어 흰 뼈가 흙이 되고, 혼백이야 어찌되던 임금을 위한 나의 충성된 마음이야 변할 리가 있겠느냐’ 하고 응답하였다. 이렇게 고려 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일거에 토로하자 이방원은 정몽주의 마음을 돌이킬 수 없음을 알고 사람을 시켜 그가 돌아가는 길목, 즉 선죽교에서 살해하고 만다.

‘만수산 드렁칡’에 비유하면서 한 백년 영화를 함께 누리자고 만고의 충신 정몽주를 회유하는 야심 만만한 이방원의 글 솜씨도 놀랍거니와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의 모골(毛骨)이 송연한 대목을 끌어 내어 결연한 의지를 보여 준 정몽주의 충절(忠節)은 더욱 빛나지 않는가.

정몽주의 자는 달가(達可)이다. 너무 어질고 인자한 분이었기에 울던 아이도 ‘달가가 온다’고 하면 울음을 그쳤다고 한다. 그후 지금까지 손자를 어르는 할아버지의 노래는 언제나 ‘달강달강…’으로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봄바람 불고 꽃도 피고 지고, 날이 참 좋다. 문득 무슨 뜻인지 모르고 외웠던 <상춘곡>이 생각난다. ‘홍진에 뭇친 분네 이내 생에 어떠한고’로 시작하는데, 사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바로 여기다.

괴여 닉은 술을 갈건(葛巾)으로 밧타 노코, 곳나모 가지 것거, 수노코 먹으리라.

학생이던 나에게 나중에 꽃나무 가지 꺾어 숫자 세어가며 술을 마시고 싶다는 소박한 꿈을 품게 만들어준 글이지만, 사실 커서 술 마셔보니 몇 잔 마셨는지 세면서 먹게 되지는 않더라. (지금은 술 끊음)

사람은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시인들도 보면 한 시대를 풍미하던 사람들이 서로 의기투합을 하기도 하고 술 한잔 걸치고 풍류를 즐기기도 하고 티격태격 싸우기도 하고 그런 이야기들이 솔솔 들려온다. 그 시절 함께 술 마시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벗들은 다들 무얼하고 지내는지 문득 궁금해진다.

오늘은 고려 말 이방원의 <하여가>와 정몽주의 <단심가>를 감상해보아야겠다. 그들이 처음부터 그런 인연은 아니었지만, 결국 누군가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에 다다르고 마니, 이 둘의 입장에서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하여가>를 읊은 이방원과 이에 화답한 정몽주의 마음을 생각하며 시를 떠올려본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萬壽山) 드렁 츩이 얽어진들 긔 어떠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百年)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청구·해동·가곡>

이러하면 어떠하고 저러하면 어떠한가?

저 만수산 위의 얽혀 있는 칡덩굴처럼 얽어졌던들 그 무슨 상관이 있으랴.

우리들도 되는대로 드렁 칡이 얽혀지듯 서로 얽혀져 백년 만년까지 행복을 누리며 살아보자.

감상

해동악부(海東樂府)와 포은집(圃隱集)에서 「此亦何如 彼亦何如 城隍堂後垣 頹落亦何如 我輩若此爲 不死亦何如」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태종-즉위 전-이 포은(圃隱) 정몽주를 초청하여 그의 뜻을 떠볼 겸, 정몽주에게 절개를 굽혀 시비를 막론하고 시세(時勢)에 따라 고려 사직을 전복하고 새 국가를 세우는 데 참여할 뜻이 있는가 하고 넌지시 일러 본 시조이다. 이 시조는 <하여가(何如歌)>라고 부르며 이에 맞서 화답한 정몽주의 시조로 <단심가(丹心歌)>가 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一百番) 고쳐 죽어

백골(白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잇고 없고

님 향(向)한 일편 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정몽주-

<청구·해동·가곡>

이 몸이 죽고 또 죽어서 일백번 아니 천백번이나 거듭 죽는 일이 있어

흰 뼈가 다 부서지고 또 다시 부서져 티끌과 흙덩이가 먼지처럼 되어져 넋이라도 있게 되든지 없게 되든지

임을 향한 한 조각의 충성된 마음이야 변할 까닭이 있을 것인가.

감상

이 시조는 고려 말기의 무장인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후에 즉위하여 태종이 됨-이가 포은 정몽주의 마음을 떠 보는 동시에 회유하여 보려고 그를 청하여 잔치를 베풀고, 하여가-<이런들 어떠하리>-를 부르자 포은 정몽주는 이 단심가로서 화답하여, 고려사직을 향한 충성심을 굽히지 않을 뜻을 읊은 것이다. 이리하여 정몽주는 조영규를 하수인으로 한 이방원에 의해 선죽교에서 피살되고 말았으며 충신의 피가 흘린 돌다리 위엔 대나무가 돋았다는 애절한 전설이 전해온다.

지금은 <하여가>하니, 서태지의 노래가 생각났다. 노래가 아닌 가사만 보니 ‘엥, 이게 이런 내용이었어?’ 한다. 경쾌한 리듬의 곡이어서 지금껏 가사를 제대로 음미하지 못했던 것이다. 분명 나름 가사도 외우고 있었는데, 이게 이런 의미라는 것이 훅 치고 들어온다. 문득 何如라는 것이 서글퍼져서 생각에 잠긴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이방원 하여 가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이방원 하여가 가사, 이방원 하여가 해석, 하여가 단심가 원문, 하여가 단심가, 하여가 시, 하여가 한자, 이방원 하여가 정몽주 단심가, 하여가 원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