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악성 코드 종류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maxfit.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악성 코드 종류 악성코드 제거, 컴퓨터 악성코드 종류, 악성코드 이름, 악성코드 다운로드, 트로이목마 악성코드, 악성코드 분석, 악성코드 뜻, 악성코드 검사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악성코드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악성코드와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
- 웜 …
- 루트킷/트로이목마/백도어 …
- 랜섬웨어 …
- 애드웨어 …
- 스파이웨어/키로거 …
- 봇넷(botnet)
바이러스부터 랜섬웨어까지, 자주 나타나는 악성코드들 | 가비아 라이브러리
- Article author: library.gabia.com
- Reviews from users: 42287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바이러스부터 랜섬웨어까지, 자주 나타나는 악성코드들 | 가비아 라이브러리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바이러스부터 랜섬웨어까지, 자주 나타나는 악성코드들 | 가비아 라이브러리 Updating 사용자의 PC에 해를 끼치는 코드(code)에는 바이러스, 웜, 랜섬웨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를 모두 통틀어 악성코드(malware)라고 부릅니다. 악성코드 감염 시 그 유형에 따라 지속적으로 광고에 노출되거나 개인정보 유출, 혹은 중요한 파일 손상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악성코드,랜섬웨어,바이러스,웜,멀웨어,악성코드감염,애드웨어,스파이웨어,봇넷,루트킷,백도어,정보보안
- Table of Contents:
10가지 악성코드 특징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 스파이/애드웨어, Hoax, 랜섬웨어, 루트킷, Exploit)
- Article author: ottl-seo.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5648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10가지 악성코드 특징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 스파이/애드웨어, Hoax, 랜섬웨어, 루트킷, Exploit) 악성코드는 의도적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고자 만든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악성코드종류. 1. 컴퓨터 바이러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10가지 악성코드 특징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 스파이/애드웨어, Hoax, 랜섬웨어, 루트킷, Exploit) 악성코드는 의도적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고자 만든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악성코드종류. 1. 컴퓨터 바이러스. 악성코드는 의도적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고자 만든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1. 컴퓨터 바이러스 :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같이 컴퓨터(숙주) 내에 기생하여 활동하는 악성코드이다. 컴퓨터 바이러..
- Table of Contents:
티스토리 뷰
1 컴퓨터 바이러스
2 트로이 목마
3 백도어
4 웜
5 스파이웨어
6 애드웨어
7 Hoax
8 랜섬웨어
9 루트킷
10 Exploit
티스토리툴바

악성코드의 9가지 유형과 이를 탐지, 제거하는 방법 – ITWorld Korea
- Article author: www.itworld.co.kr
- Reviews from users: 37004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악성코드의 9가지 유형과 이를 탐지, 제거하는 방법 – ITWorld Korea 악성코드의 9가지 유형과 이를 탐지, 제거하는 방법 · 1. 바이러스 · 2. 웜(Worm) · 3. 트로이목마(Trojan) · 4. 하이브리드와 이국적인 형태 · 5. 랜섬웨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악성코드의 9가지 유형과 이를 탐지, 제거하는 방법 – ITWorld Korea 악성코드의 9가지 유형과 이를 탐지, 제거하는 방법 · 1. 바이러스 · 2. 웜(Worm) · 3. 트로이목마(Trojan) · 4. 하이브리드와 이국적인 형태 · 5. 랜섬웨어( … 사람들은 보안 용어를 아무렇게나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얼마나 다양한 악성코드(Malware)가 확산되어 있는지 알아야 차단하고 제거할
- Table of Contents: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Live Insight
- Article author: rootkey.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14897
Ratings
- Top rated: 4.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Live Insight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1. 바이러스 (Virus) · 2. 웜 (Worm) · 3.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 4. 백도어 (Backdoor) · 5. 하이재커 (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Live Insight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1. 바이러스 (Virus) · 2. 웜 (Worm) · 3.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 4. 백도어 (Backdoor) · 5. 하이재커 ( … 악성코드 종류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악성코드란 PC나 서버를 다운 시키거나 중요파일을 삭제, 탈취하는 등 악의적인 목적을 수행하기위해 개발된 실행 가능한 코드를 통칭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악성코드는 ..
- Table of Contents: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 Live Insight](https://img1.daumcdn.net/thumb/R80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eleSJ%2FbtryV3JYarx%2F3kcYKTZKmDKHNPEkCSWRik%2Fimg.png)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 스마트한 생활정보
- Article author: eggmoneyya.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59
Ratings
- Top rated: 4.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 스마트한 생활정보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 스파이웨어(Spyware) · 웜(Worm) · 백도어(Back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 스마트한 생활정보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 스파이웨어(Spyware) · 웜(Worm) · 백도어(Back … 악성코드(Malware)는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가능한 코드를 통칭하는 단어이다. 흔히 알고 있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포함해 웜, 랜섬웨어 까지 모두 악성코드라할 수 있다. 악성코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금융, 보험, 세금, 부동산 정보 뿐만 아니라 각종 궁금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 Table of Contents:
악성 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21745
Ratings
- Top rated: 4.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악성 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류편집 ·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 웜: 컴퓨터의 취약점을 찾아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 웜 바이러스: 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악성 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류편집 ·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 웜: 컴퓨터의 취약점을 찾아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 · 웜 바이러스: 웜 …
- Table of Contents:
악성코드 분석[편집]
종류[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maxfit.vn/blog.
10가지 악성코드 특징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백도어, 웜, 스파이
악성코드는 의도적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고자 만든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1. 컴퓨터 바이러스
: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같이 컴퓨터(숙주) 내에 기생하여 활동하는 악성코드이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활동 중에 자기와 동일한 것들을 복제하여 증식하고, 복제된 것들을 다른 곳에 퍼뜨리며 전염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컴퓨터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미 감염된 파일을 되돌리기는 어렵고, 파일을 삭제하고 원본 파일로 교체하는 작업을 통해서 원상복귀가 가능하다.
2. 트로이 목마
트로이목마는 겉보기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가장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컴퓨터에 설치되고 나면 자료 삭제/정보 탈취 등의 악성코드를 실행한다.
주로 감염된 컴퓨터의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트로이목마는 자기 자신을 복제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발견 시 해당 파일만 삭제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트로이목마의 종류에는 키로거(키보드 입력 가로채기), 시스템 파일 파괴, DoS 등이 있다.
DoS는 시스템의 리소스를 고갈시켜 일시적으로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공격을 말한다.
3. 백도어
백도어는 컴퓨터 내에서 일종의 “비밀 통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암호화 시스템이나 알고리즘 인증을 몰래 통과하고 접속하여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이를 발견할 수 없게 로그를 남기지 않는 것이 특징.
1998년 백오리피스(Back Ofifice)를 시작으로 제작되기 시작했고, 현재 수백종의 백도어 프로그램이 발견되고 있다.
4. 웜
: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방해하는 악성코드.
컴퓨터 바이러스와의 큰 차이점은 감염대상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구분한다.
바이러스는 감염대상을 가지고 있지만, 웜은 감염대상을 가지지 않는다. 웜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하는데, 일반적으로 웜에 감염되면 자동으로 컴퓨터 내 주소록에 등록된 사람들에게 웜이 첨부된 이메일을 전송함으로써 번식한다.
5. 스파이웨어
: 컴퓨터에 몰래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해가는 악성코드.
스파이웨어는 주로 팝업광고를 반복해서 띄우거나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되지만, 일부 스파이웨어는 컴퓨터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개인정보를 수집해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스파이웨어와 애드웨어의 경계는 국가마다 달라 명확하진 않지만, 주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 불법적으로 설치되는 애드웨어를 스파이웨어라고 칭한다.
6. 애드웨어
: “광고(ad)+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나 웹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광고창을 활성화하는 공격이다.
애드웨어 예시. 자그니 블로그(http://news.egloos.com/3846029)
애드웨어는 사용자 정보는 빼가지 않고 위와 같이 광고만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애드웨어에 감염될 시, 사용자의 의지와 달리 PC 자원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PC 내 정보를 훼손/멸실/변경/위조하는 피해가 적기 때문에 명확한 처벌이 어렵다는 점이 있다.
7. Hoax
혹스(Hoax). 주로 이메일, 메신저 등으로 협박성 사기 메시지를 전송해 사용자를 속이는 공격.
Hoax 공격 예시. 이미지 출처: 네이버블로그|법무법인 평강(https://blog.naver.com/shalom_law/221679672164)
위와 같이 혹스 메일의 주된 내용은 협박성이 짙고, 메일을 통한 거짓말로 사용자를 속이는 것이 특징이다. 혹스 메일과 함께 첨부된 설치 파일이나, 금품 요구에 속지 않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8. 랜섬웨어
: “몸값(Ransom)+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금전을 요구할 목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악성 프로그램.
주로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악성 행위를 실행한다.
// 랜섬웨어는 스파이웨어의 일종이라고도 볼 수 있다.
스파이웨어를 통해 사용자 모르게 정보를 가로채거나, 설정을 바꿔버린 뒤 ‘몸값’을 요구하는 기법을 랜섬웨어라고 설명할 수 있다.
9. 루트킷
루트킷은 직접적으로 악성코드의 효과를 내진 않지만, 이후의 다른 악성코드가 성공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환경을 구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10. Exploit
익스플로잇 공격은 컴퓨터 또는 관련 전자제품이 가진 취약점을 공격하는 기법을 말한다.
보안 취약점의 종류에 따라 CSRF 공격, XSS 공격, BOF 공격 등이 있고, 익스플로잇 공격은 주로 스푸핑 취약점 공격, EoP 취약점 공격, DoS 취약점 공격을 목적으로 실행된다.
참고 자료
2020-1 <정보사회와인터넷윤리> (임성수) 강의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list.nhn?categoryId=55599)
[보안개론] 악성코드 종류 (Malware Type)
반응형
악성코드 종류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악성코드 Malware
악성코드란 PC나 서버를 다운 시키거나 중요파일을 삭제, 탈취하는 등 악의적인 목적을 수행하기위해 개발된 실행 가능한 코드를 통칭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악성코드는 자기 복제 능력과 감염대상 유무에 따라 웜,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등으로 분류됩니다.
1. 바이러스 (Virus)
악성코드의 대표격으로,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어느 일부분 혹은 데이터에 자기 자신이나 변형된 자신을 복사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변형된 코드를 복제하여 다른 대상에 감염시킴으로써 확산됩니다. 네트워크 공유 등을 통해 전파되고, 최근에는 이메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전파됩니다.
2. 웜 (Worm)
다른 악성코드의 감염 없이 자기자신을 복제하여 전파됩니다. 실행코드 자체로 복제함으로써 PC에 악의적인 행위를 합니다. 웜은 네트워크를 통해 널리 사용되는 이메일이나 채팅채널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파됩니다.
대표적인 Worm에는 Nimda, SQL slammer Worm, Blaster Worm, Ryuk, Storm worm, Stuxnet, Mydoom 등이 있습니다.
3.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자신의 실체는 보여주지 않으면서 마치 다른 프로그램의 한 유형인 것처럼 가장하여 활동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자기 자신을 복사하지 않으며,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거나 변경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트로이 목마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순간, 시스템은 악의적 해커에게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으로는 netbus, back orifice, schoolbus, striker, executor, silencer 등이 있습니다.
4. 백도어 (Backdoor)
사용자의 동의 없이 임의의 포트를 오픈하여 공격자의 접속을 대기하는 악성코드 입니다. 백도어가 실행되면 해커가 시스템의 사용자나 관리자 모르게 내부로 접근하여 PC속의 정보를 빼내가거나 특정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백도어 종류에는 Login 백도어, Rhost++, Password Cracking, Checksum, Kernel 백도어, Bootblock 백도어, Porcess 은닉 백도어, TCP UDP Shell Backdoor 등이 있습니다.
5. 하이재커 (Hijacker)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의 시스템이나 설정을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Internet Explorer, Chrome 등 브라우저를 하이재킹하여 정보를 변경하거나 시작페이지를 고정하여 변경하지 못하게 하고, 프로그램 실행속도를 느리게 하기도 합니다.
6. 스파이웨어 (Spyware)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작되지 않았지만 다른 악성코드나 타인에 의해 악용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 광고나 마케팅을 목적으로 배포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몰래 숨어들어가 있다가 중요한 개인정보를 빼가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대개 인터넷이나 PC통신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때 많이 설치되어 IP주소, 즐겨 찾는 URL, 개인 아이디, 패스워드까지 알아낼 수 있게 발전되고 있습니다.
7. 애드웨어 (Adware)
사용자의 동의 없이 광고를 생성하거나 PC 사용에 불편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소프트웨어 자체에 광고를 포함하거나 같이 묶어서 배포하여 특정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또는 설치 후 자동적으로 광고가 표시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파이웨어와 달리 몰래 사적인 정보나 활동 기록을 컴퓨터가 동의하지 않으면 수집하거나 업로드 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응형
내 컴퓨터 괴롭히는 악성코드 8가지 종류
반응형
악성코드(Malware)는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가능한 코드를 통칭하는 단어이다. 흔히 알고 있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포함해 웜, 랜섬웨어 까지 모두 악성코드라할 수 있다.
악성코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컴퓨터 바이러스는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사용자 몰래 스스로를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는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파괴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트로이목마는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스스로 복제할 수 없고 겉으로 보기엔 정상 프로그램이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부작용을 만드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프로그램이다.
스파이웨어(Spyware)
스파에위에는 컴퓨터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등을 빼가는 소프트웨어이다.
웜(Worm)
웜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고 전파할 수 있는 악성프로그램으로 연속적인 복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가증식한다. 기억장치를 소모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파괴한다.
백도어(Back Door)
백도어는 시스템 접근에 대한 사용자 인증 등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응용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에 접근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결과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컴퓨터의 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루트킷(Rootkit)
루트킷은 시스템 침입 후 침입 사실을 숨긴 채 차후의 침입을 위한 백도어, 트로이목마 설치, 원격접근, 내부 사용 흔적 삭제, 관리자 권한 획득 등 주로 불법적인 해킹에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루트킷이 설치되면 해킹 또는 루트킷 설치 여부조차 감지하기 어렵다.
키로그 (Key Log)
키로그는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하는 비밀번호 등 모든 것을 파일로 저장한다.
랜섬웨어(Ransomware)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침입하여 시스템을 잠그거나 중요 파일을 암호화해 접근을 차단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면서 이를 빌미로 금품을 요구한다. 의심되는 메일은 열지 말것.
*출처 : 나무위키, 국세청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악성 코드 종류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악성코드 제거, 컴퓨터 악성코드 종류, 악성코드 이름, 악성코드 다운로드, 트로이목마 악성코드, 악성코드 분석, 악성코드 뜻, 악성코드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