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16 체코 영어 로 Top 49 Best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체코 영어 로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maxfit.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체코 영어 로 체코 영어 발음, 체코 언어, 체코 여자, 체코 여행, 체코 종교, 체코 면적, 체코 프라하, 체코 기후

영어(en): Czech.


Learn Czech in English | 1000 Basic Sentences
Learn Czech in English | 1000 Basic Sentences


체코 – 위키낱말사전

  • Article author: ko.wiktionary.org
  • Reviews from users: 23958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체코 – 위키낱말사전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체코 – 위키낱말사전 Updating
  • Table of Contents:

한국어[편집]

둘러보기 메뉴

체코 - 위키낱말사전
체코 – 위키낱말사전

Read More

체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21231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체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는 프라하이고, 주요 도시로 브르노, 오스트라바, 즐린, 플젠 등이 있다. 체코 공화국. Česká republika.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Coat of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체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는 프라하이고, 주요 도시로 브르노, 오스트라바, 즐린, 플젠 등이 있다. 체코 공화국. Česká republika. Flag of the Czech Republic.svg, Coat of …
  • Table of Contents:

국명[편집]

역사[편집]

지리[편집]

기후[편집]

인구 및 주민[편집]

문화[편집]

화폐[편집]

정치[편집]

무역[편집]

도시와 행정 구역[편집]

과학 기술[편집]

교통[편집]

주요 관광지[편집]

대외 관계[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체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 Pronouncer

  • Article author: pronouncer.org
  • Reviews from users: 27172 ⭐ Ratings
  • Top rated: 4.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 Pronouncer Czech [ˈʧɛk] 첵은 영어로 ‘체코 사람’, ‘체코어’를 뜻하는 명사인 동시에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이지만 나라 이름은 아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 Pronouncer Czech [ˈʧɛk] 첵은 영어로 ‘체코 사람’, ‘체코어’를 뜻하는 명사인 동시에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이지만 나라 이름은 아니다. 지난 4월 14일 체코의 대통령과 총리, 상하원 의장, 외무장관, 국방장관 등은 체코의 영어 약식 국명을 공식적으로 Czechia [ˈʧɛk.i‿ə] 체키아로 통일하기로 결정하고 내각의 동의를 얻으면 유엔에 등록을 신청하기로 했다. 현재 정식 국명인 the Czech Republic [ðə.ˈʧɛk.ɹᵻ.ˈpʌb.lɪk] 더 첵 리퍼블릭, 즉 ‘체코 공화국’으로만 통용되고 있는 것이 너무 거추장스럽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식 국명이 길면 일상적으로 그 나라를 이를 때는 가급적이면 한 단어로 줄여서…
  • Table of Contents:

Pronunciation and transcription of the world’s languages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보헤미아 모라비아 체코령 실레시아

보헤미아 왕관령

체코슬로바키아의 탄생과 분리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국명

‘체코’의 영어 약식 국명 찾기

Czechia에 대한 반대 의견

‘체코’의 한글 표기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 Pronouncer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 Pronouncer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89+ tips for you.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슷한 이름의 비슷한 이름의 체카 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체코 공화국(체코어: Česká republika 체스카 레푸블리카[*] , (도움말·정보) ), 줄여서 체코(체코어: Česko 체스코[*] , 문화어: 체스꼬)는 중앙유럽에 있는 공화국이다. 북서쪽과 서쪽은 독일, 남쪽은 오스트리아, 남동쪽은 슬로바키아, 북동쪽은 폴란드와 닿아 있다. 수도는 프라하이고, 주요 도시로 브르노, 오스트라바, 즐린, 플젠 등이 있다.

체코는 크게 보헤미아(체히), 모라바, 실레시아(슬레스코) 세 지방으로 나뉜다. 체코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되었다. 1999년 3월 12일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였으며 2004년 5월 1일에는 유럽 연합의 정회원국이 되었다. 이 나라의 민족 구성은 대부분이 서슬라브족에 속하는 체코인으로 인구의 90% 정도를 유지한다. 슬로바키아인은 두 번째로 주요한 민족이다.

국명 [ 편집 ]

체코라는 이름은 체코를 형성하는 3개의 지방 가운데 하나인 보헤미아의 체코어 표기인 ‘체히'(Čechy)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무너진 뒤에 수립된 체코 공화국은 ‘체스코'(Česko)라는 체코어 약칭을 사용한다.

1993년 체코 외무부가 체코를 뜻하는 약칭으로 체키아(Czechia)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DGDFBVJ.BGB.DJKH.JSDGVSDFCzech Republic)으로 쓰이고 있다.

역사 [ 편집 ]

9세기 말부터 14세기 초까지 프르셰미슬 왕조가 다스렸다. 이후 룩셈부르크 왕조가 다스리는 중에 카렐 1세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4세로 즉위하였다.

15세기 이후 후스파의 종교 개혁이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17세기의 보헤미아는 로마 가톨릭 국가였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하에 있었고,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양쪽 교도들 사이에 여러 차례 불협화음이 일어났으나,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개신교도의 세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신앙을 인정해 주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겸 보헤미아의 왕 마티아스(황제 재위: 1612~19년, 보헤미아 왕 재위 : 1611~17년)도 양쪽 진영에 대한 융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열렬한 로마 가톨릭 교회 신자인 페르디난트 2세는 보헤미아 왕에 선출(재위: 1617~37년)되는 동시에 개신교에 대한 탄압을 실시했다. 그 와중에 프라하 대주교령에 있던 개신교 예배당들이 철거되었고, 개신교 신자들은 이에 항의하였으나 묵살되었다. 결국에는 탄압에 반발한 개신교 시민들이 프라하의 왕궁을 습격해 국왕 고문관 3명을 왕궁의 창문에서 던져버리는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으며(1618년), 개신교 신자인 보헤미아 제후는 이 사건을 계기로 단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것이 30년 전쟁(1618~48년)의 시발점이 되었다.

반란군 제후들은 다른 개신교 제후에게 협력을 호소하였고, 개신교 제후 연합의 찬성을 얻어냈다. 황제 마티아스가 사망하고(1619년), 보헤미아 왕 페르디난트 2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도 겸임(재위: 1619~37년)하게 되자, 보헤미아의 제후들은 페르디난트 2세를 황제로 인정하지 않고, 개신교 제후 연합의 중심적 존재였던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의회에서 보헤미아의 왕(재위: 1619~20년)으로 선출하고 황제에게 대항하였다.

하지만 개신교 동맹측이 개혁파 교회(Reformed church)와 루터교회의 대립으로 발이 묶인 사이, 황제 페르디난트 2세는 로마 가톨릭 교회 세력의 연대를 강화해 교황의 원조금과 스페인-합스부르크 왕가의 지원군 및 바이에른 대공 막시밀리안 1세(재위: 1623~51년) 등의 로마 가톨릭 교회 제후의 원조를 받아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에스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파견했다.

사실상 로마 가톨릭 교회 동맹세력이 우위를 차지함으로써 이 시점에서 승부는 이미 결정되었다. 1620년 11월 8일 개신교 동맹측의 보헤미아군은 백산(白山) 전투에서 틸리 백작이 이끄는 로마 가톨릭 교회 동맹군에게 괴멸적인 대패를 당했고, 보헤미아의 수도 프라하는 저항하지 못하고 항복했다.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보헤미아 지배는 강화되었다. 곧이어 1627년 신(新)영지조례법에 의해 의회는 권력을 모두 빼앗기게 되어 사실상 속령이 되었다. 이로 인해 다수의 보헤미아 귀족 및 개신교도가 망명하여 유럽 각지로 흩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왕가에 의한 재산몰수 및 국외추방이라는 가혹한 전후 처리는 다른 개신교 제후의 이탈을 초래하게 되었고, 전쟁이 장기화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전쟁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로마 가톨릭 지배가 강화되었고 그대로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帝位)를 독점한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체코를 1918년까지 지배하였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로 독립하였으나 1938년 나치 독일에 합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1939년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으로서 점령 통치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에 소련에 의해 공산화, 사실상 위성국인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이에 반발한 민중에 의해 1968년 프라하의 봄으로 대표되는 반체제 운동이 있었으나 군사개입으로 실패했다.

1980년대 후반 중앙유럽 민주화 물결을 타고 비폭력 혁명인 벨벳 혁명을 통해 민주화에 성공한 후, 국민 투표를 통해 1993년에 슬로바키아와 분리하여 체코 공화국이 성립하였다.

지리 [ 편집 ]

체코는 지리적으로 꽤 다양한 편이다. 서쪽의 보헤미아 지방에는 엘베 강과 블타바 강이 흐르는 분지 지역이 낮은 산릉으로 둘러싸여있다. 자국 내에서 가장 높은 산인 스네슈카 산(체코어: Sněžka, 높이 1,602m)이 이 곳에 있다. 체코의 수도이자 체히의 수도인 프라하는, 블타바 강과 엘베 강을 사이에 두고 있다. 모라바 사이로 모라바 강이 흐른다. 모라비아 서쪽의 일부는 실레시아(체코령 실레시아)라고 불리는 역사적인 지역이며, 나머지는 현재의 폴란드이다.

체코는 내륙 국가인데 영토 내를 흐르는 강은 북해, 발트해, 흑해로 흘러 들어간다. 체코 자국 외에 함부르크 가문 중간에 3만 제곱 미터의 조차지인 몰다우하펜이 있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슬로바키아와의 분리 전에 체코슬로바키아에 귀속된 것이다.

체코는 산, 완만한 고원과, 저지대, 동굴, 협곡, 넓은 평원, 습지, 호수, 연못, 댐 등 정말 아름답고 다채로운 자연을 자랑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북쪽으로 가면 갈수록, 지독한 대기 오염과 극치에 이른 산성비 오염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19세기 무분별한 산업화의 영향이다. 경작을 위해 수세기에 걸쳐 나무를 베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체코의 1/3은 여전히 숲으로 둘러 싸여 있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천연의 숲은 대부분 경작이 불가능한 산악 지역에 있다. 수목 한계선(1,400m)이상으로는 초원, 관목림, 지의류 등이 있다 곰, 늑대, 스라소니와 그 외 야생고양이, 마멋, 수달, 담비, 밍크 등의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숲과 습지대에는 꿩, 자고, 오리, 야생거위 등 사냥조류들이 서식하는데, 이들은 주로 사냥감이다. 독수리, 콘돌, 물수리, 황새, 느시, 뇌조 등도 극히 드물게 눈에 띈다.

기후 [ 편집 ]

체코의 대부분 지역은 습기 많은 대륙성 기후이므로 여름엔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며, 겨울엔 춥고 눈이 많이 내린다; 완만한 기온 변화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은 7월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다. 12월에서 2월까지는 저지대도 영하로 떨어지고 산악지방은 정도가 더 심하다. 사실상 ‘건기’라는 것은 없다. 겨울에는 40에서 100일정도 눈이 내리고(산간지방은 130일 정도), 저지대는 안개까지 낀다.

인구 및 주민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체코의 인구 입니다.

체코 공화국에 거주하는 주민의 90.4%는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체코인 (참조: 체히 지방)으로, 3.7%는 모라바인 (참조: 모라바 지방)으로 생각한다. 방언 차이가 있으나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모두 체코어로 분류된다. 1989년 벨벳 혁명 직후에는 자신을 모라바인으로 생각하는 인구의 비중이 높았으나 점차 그 비율이 줄어들고 있다.

체코슬로바키아가 두 나라로 분리되면서 체코에 남은 슬로바키아인은 전체 인구의 2% 정도를 차지한다. 이외의 소수 민족으로 폴란드인, 독일인, 로마인, 헝가리인, 우크라이나인이 살고 있다.

여성 1인당 합계출산율은 2004년 현재 (Eurostat 추정) 1.23명이다. 1999년에는 1.13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 2005년 현재 천명당 출생률은 10명, 천명당 사망률은 10.5명이다.

체코의 인구밀도는 130명/km2로 세계77위이다.

문화 [ 편집 ]

종교 구성 (체코) 무응답 45.2% 무종교 34.2% 천주교 10.3% 개신교 0.9% 기타 9.4%

체코의 공용어는 체코어이다. 독일어, 슬로바키아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가 체코인에게는 선호되는 외국어다. 일부는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헝가리어도 사용된다. 이 나라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다.

이 나라는 ‘몰다우’ 등을 남긴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안토닌 드보르작을 비롯한 많은 음악가들을 역사 속에 배출하기도 했다. 독일어로 작품들을 남긴 프란츠 카프카도 프라하 태생으로 관련 관광지가 많이 남아있다.

인구조사에서 종교적 소속을 명확히 하지 않은 사실상의 무종교자가 79%에 이르고 인구의 34%는 무신론자로 스스로를 밝혀 세계적으로 무종교, 무신론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다만 최대 종교인 기독교는 신자는 12%에 불과하나 체코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고, 그 중 인구의 10%는 천주교, 인구의 1%는 체코슬로바키아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후스파 개신교 신자이고, 인구의 1% 미만의 복음주의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소수 있다. 그 외에 동방 정교회(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와 유대교와 이슬람 신자도 존재한다.

화폐 [ 편집 ]

화폐는 코루나를 사용하며, 유로화를 쓰지 않는다. 1코루나당 한화로 약 50원이다.(2019년 12월 30일기준) 동전은 할레르가 있는데 종류로는 10,20,50 할레르가 있다. 그리고 일부 코루나도 동전으로 있다.

정치 [ 편집 ]

1992년 12월 채택된 신헌법에 기초한 자유 민주주의 체제다. 국가수반은 임기 4년의 총리인 내각책임제 국가이다. 의회는 임기 4년의 하원과 임기 6년의 상원으로 구성된 양원제다. 또한 다당제 국가로 시민민주당·공산당·체코사회민주당 등의 주요 정당들이 있다. 현재는 ANO 2011, 체코 사회민주당,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이 연립내각을 구성하고있다.

무역 [ 편집 ]

2017년 기준으로 체코의 주요 수출 상대국은 독일(32.60%), 슬로바키아 공화국(7.64%), 폴란드(5.99%), 프랑스(5.09%), 영국(4.95%)이다. 주요 수입 상대국은 독일(25.82%), 중국(12.58%), 폴란드(7.71%), 슬로바키아 공화국(4.83%), 이탈리아(4.23%)로 주요 수출입 상대국은 중국을 제외하면 모두 인접 유럽 국가들이다.

2017년 기준으로 총수출액은 182,231달러, 총수입액은 162,899달러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디젤 엔진 자동차(8,590백만 달러), 무선 송신 장치(5,863백만 달러), 자동차(5,038백만 달러), 디지털 처리 장치(4,670백만 달러), 자동차용 부품(4,396백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무선 송신 장치(5,972백만 달러), 자동차 부품(5,912백만 달러), 직접 회로(3,333백만 달러), 원유(3,178백만 달러), 저장장치(3,119백만 달러)이다.[1]

도시와 행정 구역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체코의 주 입니다.

보헤미아에는 수도 프라하를 비롯한 중공업 도시인 플젠, 온천 휴양지로 잘 알려진 카를로비바리 등이 있다. 모라바에는 모직물 공업으로 유명한 브르노와 제철 공업 도시인 오스트라바가 있다.

도시 [ 편집 ]

프라하는 체코의 수도. 정치·문화·상공업의 중심지로서 역사적인 문화유산도 많다. 1968년 1월 ‘프라하의 봄’으로 부르는 자유화 운동의 역사적 무대였다.

플젠은 체코 서부, 프라하 남서쪽 약 90km 지점에 있는 도시다. 중공업 도시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주공장이 있다.

행정 구역 [ 편집 ]

체코의 행정 구역

위치 14개 주 주도 인구 (2005년) A 수도 프라하

(hlavní město Praha) (PR) 1,172,975 C 이호체스코 주

(Jihočeský kraj) (JC) 체스케부데요비체

(České Budějovice) 626,042 B 이호모라프스코 주

(Jihomoravský kraj) (JM) 브르노

(Brno) 1,130,157 K 카를로비바리 주

(Karlovarský kraj) (KA) 카를로비바리

(Karlovy Vary) 304,625 H 호라데츠크랄로베 주

(Královéhradecký kraj) (KR) 흐라데츠크랄로베

(Hradec Králové) 547,326 L 리베레츠 주

(Liberecký kraj) (LI) 리베레츠

(Liberec) 427,681 T 모라바ㆍ슬레스코 주

(Moravskoslezský kraj) (MO) 오스트라바

(Ostrava) 1,252,092 M 올로모우츠 주

(Olomoucký kraj) (OL) 올로모우츠

(Olomouc) 639,110 E 파르두비체 주

(Pardubický kraj) (PA) 파르두비체

(Pardubice) 505,109 P 플젠 주

(Plzeňský kraj) (PL) 플젠

(Plzeň) 549,678 S 스트르셰도체스코 주

(Středočeský kraj) (ST) 프라하

(Praha) 1,146,343 U 우스티 주

(Ústecký kraj) (US) 우스티나트라벰

(Ústí nad Labem) 822,429 J 비소치나 주

(kraj Vysočina) (VY) 이흘라바

(Jihlava) 509,813 Z 즐린 주

(Zlínský kraj) (ZL) 즐린

(Zlín) 590,333

과학 기술 [ 편집 ]

체코는 보안 업체로 유명하다. 전 세계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백신 프로그램) 시장 점유율 각각 세계 1위, 2위인 Avast와 Avg라는 보안 업체들이 있다.

교통 [ 편집 ]

중앙유럽에 위치한 선진지역이기 때문에 철도는 매우 발달했고, 총연장은 1만 3,300km이다. 전차·버스 등의 교통기관도 발달되어 있고, 엘베강 등의 하천교통도 중요하다. 또 프라하를 중심으로 내외의 항공로도 발달해 있다.

주요 관광지 [ 편집 ]

체코는 중앙유럽이지만 문화는 서유럽의 색채가 짙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곳곳에 로마네스크·고딕·르네상스·바로크 양식의 건물이 남아 있다. 대표적인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프라하 성 [ 편집 ]

프라하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프라하 성은 9세기에 이미 교회가 있던 자리였다. 11 ~ 12세기에는 로마네스크 바실리카 교회가 성 비타 로툰다를 대체하기 위해 세워졌고, 이어 성 이르지 교회가 재건되었다. 특히 같은 시기에 외각의 돌담이 축성되어 성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카를로비바리 [ 편집 ]

카를로비바리는 세계 3대 온천 관광지역으로 유럽인의 온천 휴양지로 사랑 받고 있다.

카를교 [ 편집 ]

12세기에 이미 목재교가 같은 위치에 있었는데 강이 범람할 때 붕괴되어 12세기 중엽에 석재교로 대체되었다. 이 석재교 또한 강물로 인해 붕괴되어 1357년 카를 4세 때 교회 건축가인 피터 팔레지가 다시 건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필베르크 성 [ 편집 ]

수필베르크 성(Hrad Spilberk)은 13세기 중반에 브르노의 방어를 위한 성으로 건축되었다. 17세기에는 요새로서, 그리고 18, 19세기에는 정치사범을 가두기 위한 감옥으로 사용되었다. 그 때문에 ‘합스부르크의 민중감옥’이라 불리게 되었다. 1939년에서 1940년에는 게슈타포에 의해 감옥으로 쓰였고, 전후에는 군시설로 이용되었다가 1960년 이래로는 브르노시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성이 위치해 있는 곳은 박람회장소가 되었다.

성 페테로 파우로 교회 [ 편집 ]

녹색시장에서 남쪽으로 올라간 언덕에 있는 교회로 옛날 브르노 성이 있었다고 추측되는 자리에 위치해 있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바실리카는 13세기에 고딕양식의 돔으로 개축되었고, 그 후 15, 16세기에 다시 보수되었다가 18세기에 바로크양식으로 재건되었다. 그 후에 다시 19, 20세기 사이에 네오 고딕양식으로 개축되었다. 1777년 이래로 이곳은 브르노 주교가 있으며 12세기부터 존재한 교회 지하 납골당은 관람이 가능하다.

성 야콥 교회 [ 편집 ]

성 야콥 교회(Kostel st. Jakuba)는 국가에서 보호하는 문화유적지로 13세기에 세워진 교회다. 우리가 오늘날 보는 후기 고딕양식의 건물은 14∼15세기에 지어진 것이고 16세기에 최종적으로 개축되었다. 92m는 첨탑이 성 야콥 교회의 상징이다.

디트리히슈타인 궁전 [ 편집 ]

디트리히슈타인 궁전(Dietrichsteinky Palac)은 1613 ~ 1616년에 걸쳐 지어진 건물이다. 내부 구조가 복잡하다. 주교의 안마당은 훨씬 전인 1352년에 만들어졌다. 현재 있는 건물은 모라비안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외 관계 [ 편집 ]

대한민국과의 관계 [ 편집 ]

대한민국과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인 1990년에 정식 수교하였으며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분리된 이후에도 두 국가 모두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체코에는 현대자동차의 노쇼비체 현지공장이 있다.

러시아와의 관계 [ 편집 ]

체코는 예전에 소련의 위성국으로 지낸 시절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와 안 좋은 관계도 유지하고 있지만 폴란드와 헝가리, 루마니아에 비해서는 매우 나쁘지 않고 우호적인 관계를 일정 부분 유지하고 있다.

같이 보기 [ 편집 ]

참고 자료 [ 편집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체코 [ 편집 ]

체코: 이제는 영어로 Czechia ‘체키아’라고 불러주세요

지난 4월 14일 체코의 대통령과 총리, 상하원 의장, 외무장관, 국방장관 등은 체코의 영어 약식 국명을 공식적으로 Czechia [ˈʧɛk.i‿ə] 체키아 로 통일하기로 결정하고 내각의 동의를 얻으면 유엔에 등록을 신청하기로 했다. 현재 정식 국명인 the Czech Republic [ðə.ˈʧɛk.ɹᵻ.ˈpʌb.lɪk] 더 첵 리퍼블릭 , 즉 ‘체코 공화국’으로만 통용되고 있는 것이 너무 거추장스럽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식 국명이 길면 일상적으로 그 나라를 이를 때는 가급적이면 한 단어로 줄여서 부르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정식 국명은 영어로 the French Republic [ðə.ˈfɹɛnʧ.ɹᵻ.ˈpʌb.lɪk] 더 프렌치 리퍼블릭 , 즉 ‘프랑스 공화국’이지만 약식 국명인 France [ˈfɹæːns] 프랜스 , 즉 ‘프랑스’로 통용된다. 그런데 체코는 현재 영어에서 the Czech Republic을 줄여 부를 수 있는 약식 국명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없어서 불편하다고 Czechia라는 이름을 보급하자는 것이 체코 정부의 바람이다.

Czech [ˈʧɛk] 첵 은 영어로 ‘체코 사람’, ‘체코어’를 뜻하는 명사인 동시에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이지만 나라 이름은 아니다. 마치 French 프렌치 가 영어로 ‘프랑스어’를 뜻하는 명사인 동시에 ‘프랑스의’를 뜻하는 형용사이지만 나라 이름은 아니고 France가 나라 이름인 것과 같다. 그래서 French/France에 대응하는 단어쌍으로 Czech/Czechia를 도입하자는 것이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나뉜 후 한국어의 ‘체코’를 비롯하여 독일어의 Tschechien [ˈʧɛ.çi̯ən] 체히엔 , 러시아어의 Чехия Chekhiya [ˈʨe.xʲɪ.jə] 체히야 등 여러 언어에서 체코에 해당하는 한 단어짜리 약식 국명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Czechia라는 약식 국명을 쓰자는 움직임이 별 호응이 없이 묻히고 정식 국명인 the Czech Republic으로만 통하게 되었다.

그러니 약식 국명을 쓰자는 체코 정부의 요청은 영어처럼 정식 국명만 쓰는 언어에 한정된 것이다. 그런데 주로 외신을 번역한 국내 언론 보도에서는 이 사실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체코’는 형용사이니 나라 이름으로는 잘못되었다고 한 곳도 있는데 영어의 Czech은 형용사이지만 한국어에서는 ‘체코’가 나라 이름으로 쓰이니 잘못된 번역이다. 또 정식 국명을 the Czech Republic에서 Czechia로 바꾼다고 한 곳도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정식 국명은 여전히 the Czech Republic이고 이와 병행하여 쓸 약식 국명을 Czechia로 통일하자는 것이다.

보헤미아, 모라비아, 체코령 실레시아

체코는 역사적으로 보헤미아( 라틴어: Bohemia, 체코어: Čechy [ˈʧɛ.xɪ] 체히 )와 모라비아( 라틴어: Moravia, 체코어: Morava [ˈmo.ra.va] 모라바 ), 실레시아( 라틴어: Silesia, 체코어: Slezsko [ˈslɛs.sko] 슬레스코 ) 세 지방으로 구분한다. 이들을 합쳐 České země [ˈʧɛs.kɛː.ˈzɛ.mɲɛ] 체스케 제메 , 즉 ‘체코의 땅들’ 또는 ‘체코의 나라들’이라고 부른다. 예전에는 현재 독일과 폴란드 영토인 루사티아( 라틴어: Lusatia, 체코어: Lužice [ˈlu.ʒɪ.ʦɛ] 루지체 , 독일어: Lausitz [ˈlaʊ̯.zɪʦ] 라우지츠 , 폴란드어: Łużyce [wu.ˈʐɨ.ʦɛ] 우지체 )도 České země에 포함되었지만 오늘날의 체코 영토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1993년 이전의 현재 체코 영토를 이를 때 ‘체코 공화국’을 뜻하는 the Czech Republic이라고 할 수는 없으니 the Czech Lands [ðə.ˈʧɛk.ˈlændz] 더 첵 랜즈 라는 České země에 대응되는 표현을 쓴다.

체코의 세 지방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수도 프라하( 체코어: Praha [ˈpra.ɦa])가 속한 보헤미아이다. 라틴어 이름 Bohemia는 원래 그 지역에 정착했던 켈트족, 구체적으로는 갈리아족의 일파인 보이족( 라틴어 복수형: Boius 보이우스 , 복수형: Boii 보이이 )의 부족명에 ‘집’, ‘거주지’를 뜻하는 고대 게르만어 *haimaz를 붙인 것으로 보이는 라틴어 Boiohaemum 보이오하이뭄 에서 유래했다. 6세기경 보헤미아 중부에 슬라브족의 일파인 체코족( 체코어 단수형: Čech [ˈʧɛx] 체흐 , 복수형: Češi [ˈʧɛ.ʃɪ] 체시 또는 Čechové [ˈʧɛ.xo.vɛː] 체호베 ; 체코어에서 이 단어는 ‘보헤미아 사람’, ‘체코 사람’이라는 의미로도 쓰임)이 정착했기 때문에 체코어로는 보헤미아를 Čechy [ˈʧɛ.xɪ] 체히 라고 부르며 폴란드어로도 Czechy [ˈʦ̢ɛ.xɨ] 체히 라고 부른다. Čechy는 Čech의 비활동체 복수형으로 옛 체코어의 나라 이름 조어법을 따른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는 영어의 Bohemia [boʊ̯.ˈhiːm.i‿ə] 보히미아 , 프랑스어의 Bohême [bɔ.ɛm ə ] 보엠 , 독일어의 Böhmen [ˈbøː.mən] 뵈멘 등 라틴어 이름 보헤미아에서 온 이름을 쓴다.

19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집시’로 흔히 알려진 유랑 민족인 롬족이 보헤미아를 통해서 왔다고 잘못 알려져 이들을 프랑스어로 Bohémiens [bɔ.e.mjɛ̃] 보에미앵 , 즉 ‘보헤미아인’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가난한 예술가들이 낮은 집세를 찾아 롬족이 사는 동네에 모여들고 이들의 방랑 생활을 동경하며 스스로 ‘보헤미아인’으로 자처하면서 ‘보헤미안( 영어: Bohemian [boʊ̯.ˈhiːm.i‿ən] 보히미언 )’은 엉뚱하게도 자유분방한 삶을 사는 예술가를 뜻하는 말이 되고 말았다. 보헤미아에도 롬족이 있었고 자유분방함, 특히 종교의 자유로 유명하기도 했지만 ‘보헤미안’을 어원상으로 따지면 프랑스인들의 오해로 지어진 말이니 체코의 보헤미아와는 별 관계가 없다.

보헤미아는 체코 영토의 66%를 차지하고 전체 인구 1천 만 가운데 약 6백 만이 살고 있으니 수적으로도 체코를 대표하는 지방이다.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 체코어: Antonín Dvořák [ˈan.to.ɲiːn.ˈdvo.r̝aːk], 1841년~1904년), 작가 프란츠 카프카( 독일어: Franz Kafka [ˈfʁanʦ.ˈkaf.ka], 1883년~1924년), 영화감독 밀로시 포르만( 체코어: Miloš Forman [ˈmɪ.loʃ.ˈfor.man], 1932년 태생), 테니스 선수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체코어: Martina Navrátilová [ˈmar.cɪ.na.ˈna.vraː.cɪ.lo.vaː], 1956년 태생) 등이 모두 보헤미아 출신이다. 이 가운데 카프카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대인이었는데 역사적으로 체코는 체코인들 뿐만이 아니라 독일인(오스트리아인 포함) 주민이 많았으며 폴란드인과 헝가리인, 유대인 등이 사는 다민족 지역이었다.

모라비아는 현재의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경계를 이루는 모라바 강( 체코어: Morava [ˈmo.ra.va])에서 이름을 땄다. 체코어로는 지방과 강 이름이 둘 다 Morava 모라바 로 똑같다. 833년경 출현해서 906년 또는 907년까지 존재한 중세 국가인 대모라비아( 라틴어: Moravia Magna 모라비아 마그나 )는 중부 유럽에 등장한 최초의 대규모 슬라브계 국가로 정확한 강역은 알 수 없지만 모라바 강 유역이 중심 영토였다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이다. 대표 도시는 브르노( 체코어: Brno [ˈbr̩.no])이며 체코 영토의 28%를 차지하고 인구는 약 3백만이다. 작가 밀란 쿤데라( 체코어: Milan Kundera [ˈmɪ.lan.ˈkun.dɛ.ra], 1929년 태생), 아르누보 화가 알폰스 무하( 체코어: Alfons Mucha [ˈal.fons.ˈmu.xa], 1860년~1939년), 독일의 철학자 에트문트 후설( 독일어: Edmund Husserl [ˈɛt.mʊnt.ˈhʊ.sɐl], 1859년~1938년) 등이 모라비아 출신이다.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 독일어: Gustav Mahler [ˈɡʊs.taf.ˈmaː.lɐ, -taːf-], 1860년~1911년)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경계 지역 출신이다.

체코어로 Slezsko 슬레스코 라고 하는 실레시아는 현재 폴란드와 체코, 슬로바키아, 독일에 걸쳐있는 지방으로 폴란드어로는 Śląsk [ˈɕlɔ̃sk] 실롱스크 , 독일어로는 Schlesien [ˈʃleː.zi̯ən] 슐레지엔 이라고 부른다. 현재의 체코령 실레시아는 역사적으로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와 거의 일치한다. 대표 도시는 오스트라바( 체코어: Ostrava [ˈo.stra.va])이며 예전에는 오파바( 체코어: Opava [ˈo.pa.va])가 체코령 실레시아의 수도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5년 독일인들이 추방되기 전까지 독일어 사용 주민이 많이 살던 곳으로 유전학의 아버지로 유명한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 그레고어 멘델( 독일어: Gregor Mendel [ˈɡʁeː.ɡoːɐ̯.ˈmɛn.dl̩], 1822년~1884년)이 현재의 체코령 실레시아 출신이다. 테니스 선수 이반 렌들( 체코어: Ivan Lendl [ˈɪ.van.ˈlɛn.dl̩], 1960년 태생)도 이 지방 출신이다. 체코령 실레시아는 체코 전체 면적의 6%에 지나지 않고 인구도 1백 만 뿐이며 1782년 이후 대체로 모라비아와 같은 행정 단위에 속했으므로 때로는 따로 취급하지 않고 모라비아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보헤미아 왕관령

헝가리인의 침입으로 슬라브계 중세 국가 대모라비아가 분열되면서 그 일부였던 보헤미아는 9세기 말 공국으로 독립한 뒤 이웃하는 모라비아와 실레시아를 정복하고 1200년경에는 보헤미아 왕국으로 격상되었다. 14세기에 보헤미아 왕 카렐 4세( 체코어: Karel [ˈka.rɛl], 독일어: Karl [ˈkaʁl] 카를 ; 1316년~1378년)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출되면서 보헤미아의 프라하가 제국의 수도가 되는 등 최전성기를 누렸다. 1526년 보헤미아 왕위를 합스부르크 왕가가 물려받은 이후로도 보헤미아는 합스부르크 본령인 오스트리아에 버금가는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30년 전쟁(1618년~1648년)의 초기 전투인 1620년의 빌라호라( 체코어: Bílá hora [ˈbiː.laː.ˈɦo.ra]) 전투에서 보헤미아 군대가 제국군에게 크게 패하면서 독립을 잃고 합스부르크 왕가의 상속령이 되었다. 그래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될 때까지도 보헤미아 왕국이라는 이름과 지위는 존속되었다. 모라비아 변경백령과 저지 실레시아·고지 실레시아 공작령은 보헤미아 왕국의 일부가 되지는 않았지만 보헤미아 왕이 스스로 또는 봉신을 통해 다스리는 이른바 보헤미아 왕관령에 속했다.

이처럼 1918년까지의 근대 역사에서 체코의 3대 지방 가운데 보헤미아가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영어 및 다른 유럽 언어에서는 역사적으로 보헤미아가 체코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쓰였다. 그런데 19세기 국민주의(민족주의)가 대두되면서 보헤미아와 구분되는 이름이 필요해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가운데서도 부유하고 강성한 지역이었던 보헤미아 왕관령은 특히 독일어 사용 인구를 비롯한 여러 민족의 터전이 되었다. 보헤미아인이라는 이름은 체코어를 쓰든 독일어를 쓰든 보헤미아 왕관령의 주민을 모두 가리켰기 때문에 슬라브어인 체코어를 쓰는 주민들을 구별해서 이르기 위해 Czech [ˈʧɛk] 첵 이라는 민족명 및 형용사가 19세기부터 영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이름은 체코인들의 조상인 체코족은 물론 보헤미아인, 체코인을 아울러 이르는 체코어 이름 Čech 체흐 에서 왔다. 1842년의 체코어 철자법 개정 전에는 č를 cž로 적었으므로 영어의 Czech은 옛 체코어 철자 Cžech 체흐 를 따른 것이다. 옛 체코어 철자법은 폴란드어 철자법과 비슷했는데 폴란드어는 비슷한 음인 [ʦ̢]를 cz로 적으며 이 단어를 Czech [ˈʦ̢ɛx] 체흐 라고 쓴다.

한편 중세 대모라비아에서 헝가리인들에게 정복된 동쪽 지역의 슬라브인들은 1918년까지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 이들이 슬로바키아인들이다. 지금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상당 부분 서로 의사 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가깝다. 16세기에는 보헤미아와 마찬가지로 헝가리 왕국도 오스트리아를 다스리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차지가 되었지만 그 이름과 지위는 존속되었으며 1867년에는 합스부르크 영토 내에서 헝가리가 오스트리아와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게 되어 이른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탄생하였다. 그런데 19세기 말은 근대 국민국가 운동이 활발히 일어난 시기로 보헤미아 왕관령의 체코인들은 독일어를 쓰는 오스트리아의 지배에 맞서, 헝가리 왕국의 슬로바키아인들은 헝가리어를 쓰는 헝가리의 지배에 맞서 자결권을 얻으려 하였다. 비슷한 처지에 놓인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민족주의자들은 서로 힘을 합쳤고 나중에는 아예 한 나라로 합치자는 논의까지 이르렀다. 그리하여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가운데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이 탄생하였다.

체코슬로바키아의 탄생과 분리

이 신생국의 체코어 및 슬로바키아어 이름은 Česko-Slovensko 또는 Československo 체코어: [ˈʧɛ.sko.slo.vɛn.sko], 슬로바키아어: [ˈʧe.sko.slo.ʋen.sko] 체스코슬로벤스코 였다. 1918년~1920년과 1938년~1939년에는 붙임표를 쓴 Česko-Slovensko였고 1920년~1938년과 1945년 후 공산 정권이 무너지기 전까지는 붙임표 없이 쓴 Československo였다.

이 이름은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 český 체코어: [ˈʧɛ.skiː], 슬로바키아어: [ˈʧe.skiː] 체스키 와 ‘슬로바키아의’를 뜻하는 형용사 slovenský 체코어: [ˈslo.vɛn.skiː], 슬로바키아어: [ˈslo.ʋen.skiː] 슬로벤스키 를 접요사 -o-로 연결한 형용사형 česko(-)slovenský 체코어: [ˈʧɛ.sko.slo.vɛns.kiː], 슬로바키아어: [ˈʧe.sko.slo.ʋens.kiː] 체스코슬로벤스키 를 만든 다음 그 어미를 -sko로 바꾸어 중성 명사로 바꾼 것이다. 19세기 말부터 체코어에서는 나라 이름을 만들 때 이처럼 -sko로 끝나는 중성 명사를 쓰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česk(ý) + -o- + sloven|ský → -sko = Česko-Slovensko/Československo

그전까지 ‘보헤미아’라는 이름을 쓰던 다른 여러 언어에서는 이 새 이름을 번역해서 쓰기 시작했다. 그래서 영어에서는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 Czech 첵 에 ‘슬로바키아의’를 뜻하는 형용사 Slovak [ˈsloʊ̯.væk, -vɑːk] 슬로백/슬로바크 (‘슬로바키아인’을 뜻하는 체코어·슬로바키아어 남성 단수형 Slovák 체코어: [ˈslo.vaːk], 슬로바키아어: [ˈslo.ʋaːk] 슬로바크 에서 유래)를 접요사 -o-로 연결한 Czechoslovak [ˌʧɛk.oʊ̯.ˈsloʊ̯.væk, -vɑːk] 체코슬로백/체코슬로바크 라는 형용사형을 만들고 여기에 영어에서 일반적으로 나라 이름을 만들 때 쓰는 접미사 -ia를 붙여 Czechoslovakia [ˌʧɛk.oʊ̯.sloʊ̯.ˈvæk.i‿ə, -vɑːk-] 체코슬로배키아/체코슬로바키아 로 썼다.

Czech + -o- + Slovak + -ia = Czechoslovakia

다른 언어에서도 비슷한 이름을 만들어 썼다.

체코어: Československo [ˈʧɛ.sko.slo.vɛn.sko] 체스코슬로벤스코

영어: Czechoslovakia [ˌʧɛk.oʊ̯.sloʊ̯.ˈvæk.i‿ə, -vɑːk-] 체코슬로배키아/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어: Tchécoslovaquie [tʃe.kɔs.lɔ.va.ki] 체코슬로바키

이탈리아어: Cecoslovacchia [ʧe.koz.lo.ˈvak.kja] 체코슬로바키아

독일어: Tschechoslowakei [ˌʧɛ.ço.slo.va.ˈkaɪ̯] 체호슬로바카이

폴란드어: Czechosłowacja [ˌʦ̢ɛ.xɔ.swɔ.ˈva.ʦja] 체호스워바치아/체호스와바차

러시아어: Чехословакия Chekhoslovakiya [ʨɪ.xə.slɐ.ˈva.kʲɪ.jə] 체호슬로바키야

이 가운데 독일어에서는 나라 이름에서 흔히 쓰는 Belgien [ˈbɛl.ɡi̯ən] 벨기엔 (벨기에), Rumänien [ʁu.ˈmɛː.ni̯ən] 루메니엔 (루마니아) 등의 단수 중성 어미 -ien 대신 상대적으로 드문 Türkei [tʏʁ.ˈkaɪ̯] 튀르카이 (터키), Mongolei [ˌmɔŋ.ɡo.ˈlaɪ̯] 몽골라이 (몽골) 등의 복수 여성 어미인 -ei를 쓴 것이 특기할만하다. 아마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합친 나라라서 복수형 어미가 어울린다고 본 것이리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의 영향 아래 공산권에 들어간 체코슬로바키아는 1960년에는 개헌과 함께 정식 국명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바꾸었다. 1989년 이른바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 정권이 무너지고 대통령이 된 바츨라프 하벨( 체코어: Václav Havel [ˈvaːʦ.laf|ˈɦa.vɛl → ˈvaːʦ.lav.ˈɦa.vɛl], 1936년~2011년)은 국호에서 ‘사회주의’라는 말을 빼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슬로바키아가 체코와 동등한 지위를 누릴 것을 요구한 슬로바키아의 정치인들이 단순히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돌아가는 것에 반대하였기 때문에 논쟁 끝에 정식 국호는 1990년 ‘체코와 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이는 오래가지 않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맞서 민족 자결권을 위해 손잡았던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정체성에 대한 갈등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각자 제갈길을 가기로 합의한 것이다. 1993년 1월 1일을 기해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평화롭게 분리되었다.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국명

이른바 벨벳 이혼으로 태어난 두 신생국 가운데 슬로바키아의 국명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체코슬로바키아라는 국명에서 뒷부분만 따로 떼어내면 그만이었다.

체코어: Slovensko [ˈslo.vɛn.sko] 슬로벤스코

영어: Slovakia [sloʊ̯.ˈvæk.i‿ə, -vɑːk-] 슬로배키아/슬로바키아

프랑스어: Slovaquie [slɔ.va.ki] 슬로바키

이탈리아어: Slovacchia [zlo.ˈvak.kja] 슬로바키아

독일어: Slowakei [slo.va.ˈkaɪ̯] 슬로바카이

폴란드어: Słowacja [swɔ.ˈva.ʦja] 스워바치아/스워바차

러시아어: Словакия Slovakiya [slɐ.ˈva.kʲɪ.jə] 슬로바키야

그런데 체코슬로바키아라는 국명에서 체코를 뜻하는 앞부분은 대부분 형용사형에 접요사 -o-를 붙인 연결형이었기 때문에 나라 이름으로 바꾸려면 형태의 변화가 불가피했다. 영어의 Czecho-는 연결형으로만 쓸 수 있지 그 자체가 나라 이름이 될 수 없다. 영어에서 쓰이는 비슷한 연결형으로 France ‘프랑스’를 뜻하는 Franco-, Russia ‘러시아’를 뜻하는 Russo-, India ‘인도’를 뜻하는 Indo-, China (라틴어 Sinae 시나이 ) ‘중국’을 뜻하는 Sino-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Franco-Prussian War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Russo-Japanese War ‘러일전쟁’, Indo-European languages ‘인도·유럽 어족’, Sino-Tibetan languages ‘중국·티베트 어족’ 등의 표현에 쓰인다. Indo-가 한자 음차 표기인 ‘인도(印度)’와 형태가 유사하지만 단순한 우연일 뿐이며 영어에서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체코어에서는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 český 체스키 에 Slovensko 슬로벤스코 와 마찬가지로 어미를 -sko로 바꾸어 중성 명사로 만든 Česko [ˈʧɛ.sko] 체스코 를 새 국명으로 도입하였다. 이 이름은 1777년에도 쓴 기록이 있지만 원래는 ‘보헤미아’를 나타냈는데 1960년대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체코’라는 뜻으로 조금씩 쓰이기 시작하였다. 체코어에서 형용사 český 체스키 와 종족명 Čech 체흐 는 ‘보헤미아의’와 ‘보헤미아 사람’을 뜻할 수도 있고 ‘체코의’와 ‘체코 사람’을 뜻할 수도 있는 중의성이 있다. 하지만 옛 조어법을 따른 이름인 Čechy 체히 는 역사적 용법 때문에 원래 보헤미아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헤미아 뿐만이 아니라 모라비아와 실레시아도 아우를 수 있는 이름이 필요하다고 해서 도입된 이름이 Česko이다. 처음에는 체코인들도 어색하다고 쓰지 않고 체코 전체를 이를 때에도 Čechy라고 부르거나 정식 명칭인 Česká republika [ˈʧɛ.skaː.ˈrɛ.pu.blɪ.ka] 체스카 레푸블리카 , 즉 ‘체코 공화국’을 쓰는 경우도 많았지만 오늘날에는 Česko가 ‘체코’의 체코어 이름으로 어느정도 익숙해졌다.

Čech + -y = Čechy ‘보헤미아’

če|ský → -sko = Česko ‘체코’

sloven|ský → -sko = Slovensko ‘슬로바키아’

독일어에서는 Slowakei 슬로바카이 처럼 -ei 어미를 써서 Tschechei [ʧɛ.ˈçaɪ̯] 체하이 로 쓰면 쉽겠지만 공교롭게도 1938~39년에 체코를 합병하고 슬로바키아에 괴뢰 정권을 세운 나치 독일이 쓴 용어라서 어감이 좋지 않다. 그 대신 단수 중성 어미 -ien을 쓴 Tschechien [ˈʧɛ.çi̯ən] 체히엔 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사실 Tschechien은 1918년 이전부터 독일어에서 써오던 이름인데 체코슬로바키아 탄생 이후 Tschechei에 밀렸다가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 이후 부활한 것이다.

러시아어에서는 Словакия Slovakiya 슬로바키야 처럼 -ия -iya 어미를 써서 Чехия Chekhiya [ˈʨe.xʲɪ.jə] 체히야 로 부른다. 반면 폴란드어에서는 Słowacja 스워바치아/스워바차 를 본딴 새로운 이름을 만들지 않고 ‘보헤미아’를 뜻하는 옛 이름 Czechy 체히 를 그대로 체코의 국명으로 재활용했다.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에서도 각각 Slovaquie 슬로바키 의 -ie 어미, Slovacchia 슬로바키아 의 -ia 어미를 쓴 Tchéquie [ʧe.ki] 체키 , Cechia [ˈʧɛː.kja] 체키아 가 도입되었지만 실제로는 정식 국명인 République tchèque [ʁe.py.blik ə .tʃɛk ə ] 레퓌블리크 체크 와 Repubblica Ceca [re.ˈpub.bli.ka.ˈʧɛː.ka] 레푸블리카 체카 가 더 널리 쓰인다. 예전부터 ‘체코의’를 뜻하는 형용사형 tchèque 체크 , ceco/ceca 체코/체카 는 익숙했는데 거기에 해당하는 나라 이름이 무엇인지 아직 낯설어 망설여지니 그냥 ‘공화국’을 뜻하는 말에 형용사형을 쓴 정식 국명을 쓰는 것이 편하다고 느낀 것이다.

‘체코’의 영어 약식 국명 찾기

영어에서의 상황도 비슷하다. 형용사형 Czech 첵 은 친숙하지만 이에 해당하는 한 단어짜리 나라 이름은 언뜻 떠오르지 않으니 그냥 정식 국명인 the Czech Republic 더 첵 리퍼블릭 을 쓰는 것이 편해 지금까지 약식 국명 대신 쓰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 직후에도 약식 국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이들이 많았다. 혹자는 England [ˈɪŋ.ɡlənd] 잉글런드/잉런드 (잉글랜드), Finland [ˈfɪn.lənd] 핀런드 (핀란드), Poland [ˈpoʊ̯l.ənd] 폴런드 (폴란드), Thailand [ˈtaɪ̯.lænd, -lənd] 타일랜드/타일런드 (타이/태국)처럼 -land를 붙인 Czechland [ˈʧɛk.lənd] 체클런드 를 쓰자고 하였다. 또 the Netherlands [ðə.ˈnɛð.əɹ.ləndz] 더 네덜런즈 (네덜란드)처럼 복수형을 써서 the Czech Lands 더 첵 랜즈 라는 표현과 비슷하게 the Czechlands [ðə.ˈʧɛk.ləndz] 더 체클런즈 라고 쓰자는 제안도 있었다.

하지만 영어에서 나라 이름을 만들 때 가장 흔한 방식은 -ia 어미를 붙이는 것이고 Slovakia 슬로배키아/슬로바키아 에서도 이 어미가 쓰이므로 Czechia 체키아 를 쓰자는 의견이 우세했다. 라틴어에서는 1634년에 이미 Czechia라고 쓴 기록이 있으며 영어에서는 1841년에 처음 쓰인 역사 깊은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Czech + -ia = Czechia

Slovak + -ia = Slovakia

하지만 체코와 슬로바키아 분리 직후에는 공식 국명인 the Czech Republic이 이미 워낙 익숙해져 Czechia가 비집을 틈이 없었다. 체코인들조차 자국어로 Česko 체스코 가 낯설어 Česká republika 체스카 레푸블리카 라는 정식 국명을 선호하던 참에 약식 국명 Czechia가 생명력을 얻기는 어려웠던 것이다.

그러니 일반 영어 화자들은 대체로 체코의 약식 국명을 모른다. 하지만 일일이 the Czech Republic이라 부르기는 번거롭기에 일부 화자들은 격식을 차리지 않은 입말에서 형용사인 Czech을 나라 이름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그는 체코에 산다’를 She lives in the Czech Republic 대신 She lives in Czech이라고 쓰는 식이다. 물론 문법적으로 틀린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격식을 차린 언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영어에서 한 단어짜리 약식 국명이 없는 나라 가운데 도미니카 공화국(the Dominican Republic [ðə.də.ˈmɪn.ɪk.ən.ɹᵻ.ˈpʌb.lɪk] 더 더미니컨 리퍼블릭 )과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ˌsaʊ̯d.i.ə.ˈɹeɪ̯b.i‿ə, ˌsɔːd-] 사우디어레이비아/소디어레이비아 )가 있다. 약칭이 도미니카(Dominica [dɒm.ɪ.ˈniː.kə])인 도미니카 연방이 따로 있기 때문에 도미니카 공화국은 도미니카로 줄여 쓰지 않는다. 이들도 마찬가지로 the Dominican, Saudi로 줄여 쓰는 것을 간혹 볼 수 있다(예: He went to the Dominican ‘그는 도미니카 공화국에 갔다’, We passed through Saudi ‘우리는 사우디아라비아를 통과하였다’). 물론 마찬가지로 격식을 차린 언어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용법이다. 한국어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를 간결하게 ‘사우디’로 부를 때가 많은데 신문 기사 제목 같은 곳에서는 많이 쓰이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실리지 않은 준말이다.

Czechia에 대한 반대 의견

체코 정부에서 약식 국명을 Czechia 체키아 로 정한다는 소식을 듣고 반발하는 이들도 많다. 주로 지금껏 잘 쓰던 이름을 두고 굳이 낯선 새 이름을 쓸 필요가 있느냐는 예견된 반응이지만 더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반대하기도 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영어에서 러시아 연방의 체첸 자치 공화국을 뜻하는 Chechnya [ʧɛʧ.ˈnjɑː, ˈʧɛʧ.ni‿ə] 체치냐/체치니아 를 연상시킨다는 것이었다. 영어의 Chechnya는 러시아어의 나라 이름 Чечня Chechnya [ʨɪ.ˈʨnʲa] 체치냐 에서 따온 것이다. ‘체첸 사람’을 뜻하는 명사 또는 ‘체첸의’를 뜻하는 형용사는 영어로 Chechen [ˈʧɛʧ.ɛn, –ən] 체첸 이다. 한국어의 ‘체첸’은 사실상 여기에서 온 것으로 봐야 한다. 러시아어에서는 ‘체첸 사람’은 남성형은 чеченец chechenets [ʨɪ.ˈʨe.nʲɪʦ] 체체네츠 , 여성형은 чеченка chechenka [ʨɪ.ˈʨen.kə] 체첸카 이며 형용사 ‘체첸의’는 чеченский chechenskiy [ʨɪ.ˈʨen.skʲɪj] 체첸스키 이다. 러시아어 속어로 드물게 ‘체첸 사람’을 чечен chechen [ʨɪ.ˈʨen] 체첸 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한국어에서 쓰는 ‘체첸’은 영어식 표현이다. 참고로 체첸어로는 나라 이름을 Нохчийчоь, Noxçiyçö [nox.ʧi.ʧyø] 노흐치최 라고 하고 ‘체첸 사람’은 Нохчий Noxçiy [nox.ʧiː] 노흐치 라고 하니 ‘체첸’과 Chechnya는 체첸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외래명, 즉 외부인들이 붙여준 이름이다.

실제 2013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터진 폭탄 테러의 용의자가 체첸인(Chechens)으로 지목되자 많은 미국인들이 체첸과 체코를 구분하지 못하는 반응을 보여 주미 체코 대사가 체코와 체첸은 전혀 다른 국가라고 해명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는 웃지 못할 일까지 있었다. 나라가 the Czech Republic으로 알려져 있는데도 이런 혼동이 일어나는 판에 Czechia로 바꾸면 Chechnya와 더욱더 비슷해진다고 우려하는 것이다.

이런 반응의 일부는 Czechia의 발음을 잘못 알아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올바른 발음은 [ˈʧɛk.i‿ə] 체키아 인데 철자만 보고 발음이 [ˈʧɛʧ.i‿ə] 체치아 인 줄 아는 이들이 꽤 되는 듯하다. 그도 그럴 것이 영어에서는 철자 ch가 보통 파찰음 /ʧ/를 나타낸다. 물론 aching [ˈeɪ̯k.ɪŋ] 에이킹 , anarchist [ˈæn.əɹ.kɪst, -ɑːɹ-] 애너키스트/애나키스트 , masochism [ˈmæs.ə.ˌkɪz.əm, ˈmæz-] 매서키즘/매저키즘 , parochial [pə.ˈɹoʊ̯.ki‿əl] 퍼로키얼 같은 단어에서 ch가 폐쇄음 /k/로 발음될 뿐만이 아니라 Czech [ˈʧɛk] 첵 과 Czechoslovakia [ˌʧɛk.oʊ̯.sloʊ̯.ˈvæk.i‿ə, -vɑːk-] 체코슬로배키아/체코슬로바키아 에서도 ch가 /k/로 발음된다는 것을 생각할 때 Czechia라는 낯선 단어에서도 ch가 /k/로 발음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법한데 그래도 이게 어려운 이들이 있나보다.

하지만 체코 정부의 노력이 성공을 거두어 영어에서 Czechia라는 이름이 정착된다면 발음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사실 영어는 철자와 발음의 관계가 워낙 느슨해서 [ˈʧɛk.i‿ə] 체키아 라는 발음이 익숙해지면 Czechia라는 철자를 보고 자연히 올바른 발음을 연상시키실 수 있을 것이다. 영어 화자들이 철자만 봐서는 짐작하기 힘든 Czech과 Czechoslovakia의 올바른 발음을 문제없이 배웠듯이 Czechia도 익숙해지면 올바르게 발음할 수 있을 것이다. 제대로 발음하기만 한다면 영어에서 Czechia와 Chechnya가 혼동될 염려는 별로 없다.

Czechia를 반대하는 다른 이유도 있다. 이 이름은 결국 보헤미아의 체코어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에 보헤미아 외 다른 지방 사람들 가운데는 이 이름이 보헤미아만이 체코의 전부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며 못마땅하게 여기는 이들도 있다(이들은 보통 체코어 Cěsko 체스코 라는 이름에도 부정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the Czechlands 더 체클런즈 같이 적어도 여러 지방이 합친 나라라는 것을 나타내는 복수형 이름을 선호한다. 아예 Czechomoravia [ˌʧɛk.oʊ̯.mə.ˈɹeɪ̯v.i‿ə, -mɒ-] 체코모레이비아 즉 ‘체코모라비아’ 같이 나라 이름에 모라비아를 포함시키는 것을 제안하기도 한다. 물론 여기에 체코령 실레시아까지 더해 Czechomoravosilesia [ˌʧɛk.oʊ̯.mə.ˌɹeɪ̯v.oʊ̯.saɪ̯.ˈliːz.i‿ə, -mɒ-, -sɪ-, -ˈliːʒ.ə, ˈliːʃ.ə] 체코모레이보사일리지아/체코모레이보실리샤/… 즉 ‘체코모라보실레시아’까지 가면 거추장스럽게 긴 국명을 짧게 줄이려던 원 의도가 무색해질 테니 이런 제안은 없다.

모라비아와 체코령 실레시아 사람들 입장에서는 불공평한 일일 수 있지만 원래는 보헤미아를 뜻하던 ‘체코’라는 이름이 나라 전체를 대표하게 된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한 국가의 주요 지역 하나가 나라 전체를 대표하는 이름처럼 쓰이는 예는 이 외에도 영국의 잉글랜드(England)와 네덜란드의 홀란트( 네덜란드어: Holland [ˈɦɔ.lɑnt])를 들 수 있다. 영어에서는 England 잉글런드/잉런드 와 Holland [ˈhɑl.ənd] 홀런드 가 각각 영국과 네덜란드 전체를 이르는 이름으로 자주 쓰인다. 나라 전체를 이르는 이름인 the United Kingdom [ðə.ju.ˈnaɪ̯t̬.ᵻd.ˈkɪŋ.dəm] 더 유나이티드 킹덤 이나 the Netherlands 더 네덜런즈 가 너무 길어서 이렇게 부르는 일이 많지만 타 지방 출신의 영국인이나 네덜란드인이 들으면 기분 나빠할 수도 있다. 한자식 이름인 영국(英國)과 화란(和蘭)도 각각 잉글랜드와 홀란트에서 따왔지만 나라 전체를 이른다.

‘체코’의 한글 표기

지금까지 Czechia 체키아 , the Czech Republic 더 첵 리퍼블릭 등의 영어 이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한글 표기는 어떤가? ‘체코’라는 현 표기를 ‘체키아’로 바꿀 필요가 있을까?

일단 영어에서 the Czech Republic 대신 Czechia라고 불러달라고 체코 정부가 요청한 이유는 한국어에 해당 사항이 없다. 한국어에서는 이미 정식 국명인 ‘체코 공화국’ 대신 약식 국명 ‘체코’가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외국어를 번역한 글에서 다른 나라는 약식 국명으로 부르면서 체코만 불필요하게 ‘체코 공화국’으로 쓰는 경우도 종종 본다. 영어에서 약식 국명 Czechia가 널리 퍼진다면 이런 경우도 줄어들 것이다.

‘체코’라는 현 표기가 언어학적으로 근거가 희박하다는 것은 확실하다. 영어 Czech + -o- + slovak + -ia = Czechoslovakia를 ‘체코슬로바키아’로 표기해왔는데 둘이 분리되자 이를 단순히 ‘체코’ + ‘슬로바키아’로 분석해서 ‘체코’라고 표기하게 된 것이다. 일본어에서도 チェコ Cheko [ʨe.ꜜko] 체코 로 부른다. 예전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에도 한국어에서는 그냥 ‘체코’로 줄여 부르는 일이 흔했다. 그런데 앞에서 보았듯이 영어에서 Czecho-, 즉 Czech + -o-는 뒤에 따르는 말이 있을 때의 연결형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나라 이름이 아니다.

그러니 접요사 -o-를 떼고 영어의 형용사형 Czech만 옮겨 ‘체크’로 쓰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도 있다. 그런데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Czech [ˈʧɛk]은 ‘체크’가 아니라 ‘첵’으로 쓰는 것이 맞다. 영어의 표기에서 짧은 모음을 따르는 어말 무성 파열음은 받침으로 적도록 하고 있으니 ‘첵’으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영어에서 Czech와 발음이 완전히 똑같은 동음이의어인 check에 해당하는 외래어는 ‘첵’이 아니라 ‘출석 체크’, ‘체크 무늬’ 등으로 쓰이는 ‘체크’이다. 영어에서 오래 전에 들어온 외래어 가운데 짧은 모음을 따르는 어말 무성 파열음을 받침으로 적었을 때 한국어에서 한 음절이 되는 경우 받침 대신 ‘으’를 붙여 적는 경향이 있다. hit [ˈhɪt] 힛 ‘히트’, mat [ˈmæt] 맷 ‘매트’, set [ˈsɛt] 셋 ‘세트’ 등 어말 자음이 /t/일 때 이런 경향이 특히 심하지만 check [ˈʧɛk] 첵 ‘체크’, knock [ˈnɒk] 녹 ‘노크’, shock [ˈʃɒk] 쇽 ‘쇼크’ 등 어말 자음이 /k/일 때도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체크’라는 형태가 익숙하니 철자는 다르지만 영어 발음이 같은 Czech도 그렇게 적고 싶어지는 것인데 외래어 표기 원칙에는 맞지 않으니 권장할만한 표기는 아니다. 한편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른 대부분의 언어 표기에서는 짧은 모음을 따르는 어말 무성 파열음도 ‘으’를 붙여 적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프랑스어의 Tchèque [tʃɛk ə ]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체크’가 맞다.

만약 Czech의 어원인 체코어의 Čech [ˈʧɛx] 또는 폴란드어의 Czech [ˈʦ̢ɛx]를 한글 표기 기준으로 삼는다면 ‘체흐’이다. 하지만 이는 나라 이름이 아니라 ‘체코 사람’을 뜻하니 나라 이름의 표기 기준으로는 썩 어울리지 않는다. 다만 ‘스위스’를 ‘스위스의’를 뜻하는 형용사이자 ‘스위스 사람’을 뜻하는 명사인 영어의 Swiss [ˈswɪs] 스위스 에서 온 표기로 본다면 ‘체흐’도 비슷한 예로 볼 수 있다(하지만 영어 Swiss의 어원인 프랑스어의 Suisse [ˈsɥis ə ] 쉬이스/쉬스 는 나라 이름으로도 쓰인다). 체코어 이름에 따라 적으려면 나라 이름인 Česko [ˈʧɛ.sko]를 기준으로 ‘체스코’로 적는 게 나을 것이다. 그러나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어와 체코어에서 쓰는 나라 이름 Slovensko의 슬로바키아어 발음 [ˈslo.ʋen.sko] 또는 체코어 발음 [ˈslo.vɛn.sko] 에 따라 ‘슬로벤스코’로 쓰지 않으면서 체코는 ‘체스코’로 쓰는 것도 형평에 맞지 않는다.

사실 슬로바키아 말고도 체코 주변 나라들 가운데 현지 언어 이름에 따라 불러주는 곳은 없다. 독일은 그나마 독일어 이름인 Deutschland [ˈdɔʏ̯ʧ.lant]에 따른 ‘도이칠란트’가 별칭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있지만 실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오스트리아의 독일어 이름은 Österreich [ˈøːs.tə.ʁaɪ̯ç, -tɐ-] 외스테라이히/외스터라이히 , 폴란드의 폴란드어 이름은 Polska [ˈpɔl.ska] 폴스카 , 헝가리의 헝가리어 이름은 Magyarország [ˈmɒ.ɟɒ.ror.saːɡ] 머저로르사그 이다. 참고로 현지어 발음에 따른 표기를 원칙으로 내세우는 북한 문화어는 체코를 ‘체스꼬’, 슬로바키아를 ‘슬로벤스꼬’라 쓰며 독일을 ‘도이췰란드’, 폴란드를 ‘뽈스까’, 헝가리를 형용사형 및 민족명 magyar [ˈmɒ.ɟɒr] 머저르 에 따라 ‘마쟈르’로 쓰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오스트리아는 남한 표준어와 똑같이 ‘오스트리아’라고 한다. 1998년 이전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도이췰란드’와 ‘오스트리아’ 대신 한자 음차 표기인 ‘독일(獨逸)’과 ‘오지리(墺地利)’를 썼고 헝가리를 ‘마쟈르’ 대신 러시아어의 Венгрия Vengriya [ˈvʲen.ɡrʲɪ.jə] 벤그리야 를 따른 ‘웽그리아’로 썼다.

그 외에도 유럽 중동부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등은 현지어 이름인 Hrvatska [xř̩.ʋaːt.skaː] 흐르바츠카 , Србија / Srbija [sř̩.bi.ja] 스르비야 , Lietuva [lʲɪɛ.tʊ.ˈvɐ] 리에투바 , Eesti [ˈeːs.ti] 에스티 가 아니라 영어에서 쓰는 형태인 Croatia, Serbia, Lithuania, Estonia를 따른 것이다. 그런데 이들을 영어 발음에 따라 적으면 각각 [kɹoʊ̯.ˈeɪ̯ʃ.ə] ‘크로에이샤’, [ˈsɜːɹb.i‿ə] ‘서비아’, [ˌlɪθ.ju.ˈeɪ̯n.i‿ə, -u-] ‘리슈에이니아/리수에이니아’, [ɛ.ˈstoʊ̯n.i‿ə, ᵻ-] ‘에스토니아/이스토니아’이니 영어 발음에 따른 표기가 아니라 국제적인 라틴어식 발음에 따른 표기, 즉 a를 ‘아’로 적고 e를 ‘에’로 적는 방식을 따랐다. 참고로 현재 라틴어에서 쓰는 형태는 Croatia, Serbia, Lituania 또는 Lithuania, Estonia 또는 Esthonia로 t와 th의 교체 같은 미세한 차이를 제외하면 영어에서 쓰는 형태와 일치하며 한국어에서 쓰는 형태도 라틴어 이름에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한 것과 일치한다(물론 오늘날 라틴어를 모어로 쓰는 화자는 없지만 오늘날에도 바티칸 시국 등에서 여전히 쓰고 있기 때문에 고전 라틴어 시대에는 없던 현대의 나라 이름도 라틴어 형태가 있다).

그러면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라틴어 이름은 무엇일까? 체코는 이탈리아어와 형태가 같은 Cechia로 쓰거나 Czechia로 쓰며 슬로바키아는 Slovacia 또는 Slovakia로 쓴다. 체코의 영어 약식 국명으로 Czechia가 많은 지지를 얻은 이유 가운데 하나도 라틴어 형태에 가깝다는 것이다. Czechia라는 라틴어 표기는 이미 1634에도 쓴 예가 있다고 한다. 영어에서 Czechia가 처음 쓰인 것은 1841년이다.

그런데 Cechia에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케키아(×)’, Slovacia 또는 Slovakia는 ‘슬로바키아(×)’이다(Czechia는 ‘크제키아(×)’ 정도로 적을 수도 있겠지만 cz는 고전 라틴어에 나오는 조합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 이름에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적용하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외래어 표기법에 준하는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에 포함된 라틴어 표기 원칙은 로마 시대의 고전 라틴어 표기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라틴어의 표기에 적용하려면 약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Croatia, Serbia 등 앞에서 예를 든 라틴어 이름에는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적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Cechia/Czechia와 Slovacia는 전설 모음인 i, e 앞에 나오는 c 때문에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현대 라틴어 발음과 큰 차이가 생긴다.

고전 라틴어에서 c는 언제나 폐쇄음 /k/를 나타냈다. 그런데 속라틴어에서 일어난 발음의 변화로 로망어군에서는 i, e 등 전설 모음 앞의 c가 파찰음(예: 이탈리아어와 루마니아어의 /ʧ/) 내지는 마찰음(예: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 라틴 아메리카 에스파냐어의 /s/, 카스티야 에스파냐어의 /θ/)으로 발음이 바뀌었다. 로마 교황청에서 쓰는 교회 라틴어는 이탈리아어식 발음을 따르기 때문에 전설 모음 앞의 c를 /ʧ/로 발음한다. 다른 언어에서도 라틴어의 발음이 바뀌어서 전설 모음 앞의 c를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은 영어는 /s/로, 독일어와 슬라브어 대부분은 파찰음 /ʦ/로 발음하게 되었다.

Cechia를 고전 라틴어식 발음에 따라 적으면 ‘케키아(×)’이지만 이 이름이 출현한 것은 이미 전설 모음 앞의 c가 파찰음이나 마찰음으로 바뀐지 한참 후이니 그렇게 적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Cechia의 교회 라틴어 발음은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ˈʧɛː.kja] ‘체키아’이다. 그런데 Czechia의 발음은 약간 더 복잡하다. 체코어 옛 철자에서 cz가 파찰음 /ʧ/를 나타낸 것을 감안하면 Czechia에서도 /ʧ/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Cechia 대신 굳이 라틴어에서 잘 안 쓰는 cz 조합을 써서까지 Czechia로 썼을까? 현대 라틴어 발음 가운데는 이탈리아어식 교회 라틴어 뿐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슬라브어권에서는 Cechia라고만 쓰면 첫 자음이 파찰음 /ʧ/가 아니라 전혀 다른 음소인 /ʦ/로 발음되기 때문에 일부러 Czechia로 쓴 것이다. 그런데 슬라브어권에서는 고전 라틴어에서 유기 폐쇄음 /kʰ/를 나타냈고 교회 라틴어에서는 폐쇄음 /k/를 나타내는 ch를 마찰음 /x/로 발음한다. 그러니 Czechia의 슬라브어권식 현대 라틴어 발음은 [ˈʧɛ.xi.ja] 체히아 로 볼 수 있다. 즉 체코어의 Čech [ˈʧɛx](옛 철자 Czech)에 라틴어 -ia를 붙인 형태이다. 독일어 이름 Tschechien [ˈʧɛ.çi̯ən] 체히엔 에서도 마찰음 음소 /x/의 변이음인 [ç]가 쓰인다. 즉 현대 라틴어 발음에 따른 Cechia의 표기는 ‘체키아’, Czechia의 표기는 ‘체히아’로 각각 이탈리아어 표기법, 폴란드어 표기법을 적용한 것과 같다(옛 철자 Czechia 대신 Čechia로 쓴다면 체코어 표기법을 그대로 적용한 것과도 같다). 이 가운데 고르라면 아무래도 기존의 ‘체코’와 더 가깝고 영어 발음에 따른 Czechia의 표기와도 일치하는 ‘체키아’가 받아들이기 쉬울 것이다.

마찬가지로 Slovacia는 교회 라틴어에서 [zlo.ˈvaː.ʧja] 슬로바치아 로 발음된다. 즉 루마니아어의 Slovacia [slo.ˈva.ʧja] 슬로바치아 , 폴란드어의 Słowacja [swɔ.ˈva.ʦja] 스워바치아/스워바차 에서처럼 파찰음 발음이 쓰이는 것이다. Slovacia를 굳이 고전 라틴어에서는 쓰지 않던 그리스어식 글자인 k를 써서 Slovakia로 쓰기도 하는 것은 [zlo.ˈvaː.kja] 슬로바키아 로 폐쇄음 /k/ 발음을 나타내려 하는 것이다. 그러니 Slovacia에 고전 라틴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슬로바키아’로 한국어에서 쓰는 형태와 일치하지만 이것은 우연일 뿐이다. ‘슬로바키아’에 해당하는 라틴어 이름은 Slovacia가 아니라 Slovakia이다. 그러니 슬로바키아를 라틴어 이름에 따라 적으려면 ‘슬로바치아(Slovacia)’와 ‘슬로바키아(Slovakia)’ 가운데서 고르면 된다. 영어 및 다른 언어에서 폐쇄음 /k/ 발음이 우세하니 ‘슬로바키아’로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유럽 중동부 나라 이름을 보면 불가리아(Bulgaria), 크로아티아(Croatia), 에스토니아(Estonia/Esthonia), 리투아니아(Lituania/Lithuania), 세르비아(Serbia), 슬로베니아(Slovenia) 등이 현지어 이름 아닌 라틴어 이름을 따른 것과 한글 표기가 일치한다. 우크라이나(Ucraina)도 라틴어 이름을 따른 것과 한글 표기가 같은데 이것은 라틴어에서 우크라이나어명인 Україна Ukrayina [u.krɑ.ˈji.nɑ] 우크라이나 또는 러시아어명인 Украина Ukraina [ʊ.krɐ.ˈji.nə] 우크라이나 를 그대로 따랐기 때문이다(참고로 영어로는 Ukraine [ju.ˈkreɪ̯n] 유크레인 이다). 적어도 유럽에서는 나라 이름의 경우 다른 여러 언어에서도 보통 라틴어 이름에 가깝게 부르는 일이 많으므로 라틴어 이름을 기준으로 표기하면 여러 언어에서 쓰는 형태와 가까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현지어명 Česko를 따른 표기 ‘체스코’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빼고는 들어맞는 언어가 거의 없지만 약식 국명으로 따지면 영어 Czechia·이탈리아어 Cechia·에스파냐어 Chequia가 모두 Cechia의 현대 라틴어식 표기와 같은 ‘체키아’로 표기되며 리투아니아어 Čekija의 표기인 ‘체키야’, 프랑스어 Tchéquie와 핀란드어 Tšekki의 표기인 ‘체키’, 루마니아어 Cehia와 그리스어 Τσεχία Tsekhía의 표기인 ‘체히아’,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의 Чехия Chekhiya·우크라이나어 Чехія Chekhiya·벨라루스어 Чэхія Chekhiya·라트비아어 Čehija의 표기인 ‘체히야’ 등도 ‘체스코’보다는 ‘체키아’에 더 가깝다.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처음 분리되었을 때에 체코의 한글 표기를 심의했더라면 ‘체키아’가 가장 좋았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처음부터 Czechia 체키아 라는 약식 국명이 널리 알려져 ‘체키아’로 불렀다면 모를까 체코슬로바키아가 분리된지 13년도 더 지났는데 이제 와서 이미 굳어진 ‘체코’를 ‘체키아’로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다. 특히 ‘체코’보다 ‘체키아’가 한 글자가 더 많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다. 현지어 이름인 ‘에스파냐(España [es.ˈpa.ɲa])’보다 영어 이름인 ‘스페인(Spain [ˈspeɪ̯n])’이 더 많이 쓰이고 현지 공용어 가운데 하나인 영어 이름인 ‘인디아(India [ˈɪnd.i‿ə])’보다 한자 음차 표기인 ‘인도(印度)’가 훨씬 더 많이 쓰이는 것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예전에 쓰던 표기가 글자 수가 더 적어 언중이 바꾸기를 꺼렸다는 것도 한몫 했을 것이다.

해당 정부의 요청으로 ‘그루지야’, ‘벨로루시’로 쓰던 나라 이름을 ‘조지아’, ‘벨라루스’로 바꾼 적이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the Czech Republic을 Czechia로 바꾸자는 것은 영어 이름 및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처럼 약식 국명 대신 번거로운 정식 국명을 쓰는 언어를 대상으로 한 요청이므로 ‘체코 공화국’ 대신 ‘체코’로 잘 부르고 있는 한국어에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프라하 여행객 가이드

체코 공화국의 공식 언어는 인구의 96%가 사용하는 체코어입니다. 그러나 특히 큰 도시에서는 영어가 상대적으로 잘 통하기 때문에,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체코의 구세대는 러시아어를 말할 수 있으며, 독일어를 시도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불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는 널리 사용되지 않습니다. 체코어는 또한 슬로바키아어 및 폴란드어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슬로바키아 사람과 체코 사람은 일반적으로 서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체코어(Čeština)는 체코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입니다. 이는 서쪽 슬라빅 부족의 인도 유러피안 언어의 일부에 포함되며, Huns, Avars, Bulgars 그리고Magyar에 의하여 5-6세기에 맹공을 받으며 이주한 슬라비 인들에 의하여 서쪽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체코는 또한 폴리쉬와 관련이 있으나, 슬로바키아 만큼 가깝지는 않은것으로 알려집니다- 슬로바키아의 성인과 체코 공화국의 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나, 다른 언어에 많이 노출되지 않은 젊은이들의 경우 의사소통이 수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라하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수를 고려해볼때 관광객들은 영어로 문제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독일어와 러시아어 또한 널리 쓰이는 편이나 주로 노년층에서 사용됩니다. 1989년 이전에는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우는 것이 필수였습니다. 오늘날 러시아어를 배우는 곳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영어 또는 독일어의 사용을 선호합니다.

기본적인 체코 구문

몇가지 체코 단어와 구문을 배우면 프라하 체류가 더 쉬워질 뿐 아니라 현지인들이 여러분의 수고를 기꺼워하고 여러분의 노력에 경탄하며 기뻐할 것입니다.

Dobry den [도브리 덴] 안녕하세요?

Ahoj [아호이] 안녕!

Na shledanou [나스흘레다노우] 안녕히 가세요!

Dobrou noc [도브로우 노츠] 잘 자! 안녕히 주무세요!

Ano [아노] 네

Ne [네] 아니오.

Dekuji (Diky) [데쿠이(디키)] 고맙습니다.

Prosim [프로심] 죄송합니다만…, 부탁합니다.

Pomozte mi, prosim [포모스데 미 프로심] 저 좀 도와주시겠어요?

Prominte / S dovolenim [프로민데/스도볼레님] 죄송합니다

Mluvite anglicky? [믈루비테 안글리츠키] 영어 하실 수 있으세요?

Nemluvim cesky [네믈루빔 체스키] 체코 말을 못 합니다.

Nerozumim [네 로주밈] 못 알아 듣겠어요.

Ztratil jsem se [스트라틸 셈 세] 길을 잃어 버렸어요.

Potrebuji doktora! [포트레부이 독토라] 의사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Potrebuji si zavolat [포트레부이 시 자볼라트] 전화를 걸고 싶은데요.

Zavolejte policii [자볼레이테 폴리치이] 경찰을 불러 주세요.

Hledam nemocnici [흘레담 네모츠니체] 병원을 찾고 있습니다.

Kde je… [그데 예] …가 어디에 있습니까?

Je to daleko? [예 토 달레코] 멉니까?

Vchod [브호트] 입구

Vychod [비호트] 출구

Informacni centrum [인포르마츄니 첸트룸] 안내 센터

Toalety [토알레티] 화장실

Muzi (Pani) [무쥐(파니)] 남자

Zeny (Damy) [제니(다미)] 여자

Kolik je hodin? [콜릭 예 호딘] 몇 시인가요?

Otevreno [오데브레노] 개점 시간

Zavreno [자브레노] 폐점 시간

Potraviny [포트라비니] 식료품점

Kolik to stojí? [콜릭 토 스토이] 얼마입니까?

Voda [보다] 물

Pivo [피보] 맥주

Vino [비노] 포도주

Mleko [믈레코] 우유

Chleb [흘랩] 흘랩빵(호밀빵)

Maso [마소] 고기

Dobrou chut [도브로우 후티] 맛있게 드세요!

체코어 배우기

체코어는 매우 복잡한 서부 슬라브 언어로, 유감스럽게도 배우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많은 영어 사용자는 체코어 발음이 매우 어렵다고 여깁니다. 좋은 소식은 몇몇 특별한 글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글자와 음절이 적혀있는 그대로 발음된다는 사실입니다. 비결은 단어의 길이에 상관없이 첫음절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어를 알아들을 수 없게 됩니다.

몇가지 기본적인 단어와 구문을 배우고 싶으시면 Lonely Planet에서 나온 체코어 구문 책을 추천합니다. 체코어를 기꺼이 배우고자 하는 영어 사용 관광객들을 위한 강좌도 있습니다.

체코어 알파벳

체코어 알파벳에는 32개의 모음과 자음이 있으며, 대부분의 모음은 영어와 유사하게 발음됩니다. 체코어 알파벳에서는 “háček 이나 작은 동그라미”를 포함하는 글자(예: 단어 내에 있는 č)는 별도의 글자로 간주되며 체코어 색인표 상에는 더 유사한 동류 글자 바로 뒤에 나옵니다. 더 혼란스러운 것은, 자음 조합인 ch 가 또한 별도의 글자로 간주되어 체코어 색인표 상에 h 다음에 나온다는 것입니다.

체코 알파벳에 있는 일부 특별한 글자의 발음

ch는 영어의 h와 유사

ř 는Persian 에서 rs와 유사

č 는 church에서 ch와 유사

ě는 yes에서ye와 유사

j는 yellow에서 y와 유사

c 는 tsetse에서 ts와 유사

ň은 Canute에서 n과 유사

š 는 shine에서 sh와 유사

ž는 pleasure에서 s와 유사

체코어를 이해하지 못해 걱정되시나요?

방문하시려는 나라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알고 있는 것이 항상 더 좋긴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영어나 독일어로 이야기할 수 있으면 프라하에서는 모든 준비가 된 것입니다. 프라하의 주요 식당 및 호텔, 그리고 도시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영어로 의사소통이 잘 됩니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체코 영어 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체코 영어 발음, 체코 언어, 체코 여자, 체코 여행, 체코 종교, 체코 면적, 체코 프라하, 체코 기후

Leave a Comment